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만의 유보통합에 따른 교원자격 통합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Teacher Qualifications for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Taiwan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Teacher Qualifications for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Taiwan
Authors
김대홍이지영
Issue Date
Jan-2024
Publisher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Keywords
유보통합; 교보복무인원; 유아교사; 교보원; 유아원;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reschool educator; preschool teacher; educare giver; preschool
Citation
법학논총, v.58, pp 33 - 71
Pages
39
Journal Title
법학논총
Volume
58
Start Page
33
End Page
7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9136
DOI
10.35867/ssulri.2024.58..002
ISSN
1975-0005
2671-7557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만의 유보통합 이후 신설된 교보복무인원에 대해서 관련 법례, 자격 및 권익ㆍ관리, 문제점 등을 검토하고 대만의 교원자격 통합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교보복무인원은 유아원의 원장, 교사, 교보원, 보조교보원을 의미하며, 유보통합에 따른 교육ㆍ보육서비스업무를 담당하는 인원이다. 대만에서 유보통합 논의 당시 교원자격 통합에 대해서는 ‘평행대등모델’과 ‘수직분급모델’의 두 가지 이론적 방향이 제시되었다. 대만의 교원자격 통합은 기본적으로는 수직분급모델을 채택한 것으로 분석되면서도 정합적이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무엇보다 교보복무인원의 분급과 배치에 있어 타협적이고 사려 깊지 못하였던 조항들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유아원 교사와 교보원 사이의 갈등을 초래하였다. 교보원이 교사로 승급할 수 있는 채널이 만들어진 것은 그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임시방편적 성격을 띤 것이었다. 대만의 유보통합은 유아교육ㆍ유아보육의 수준은 물론 교보복무인원의 자질과 전문성을 제고한 것으로 평가받으면서도 교원자격의 통합에 있어서는 많은 시행착오를 드러냈다. 이러한 점은 유보통합을 추진하고 있는 우리에게 교원자격 통합 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적지 않음과 입법에 있어 신속함보다는 신중함이 요구됨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w > Department of Global Law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DAE HONG photo

KIM, DAE HONG
College of Law (Department of Global Law)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