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혼사 장애와 혼인의 문학적 형상화와 의미 연구 - 내방가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Formation and Meaning of Marriage Disorder and Marriage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iterary Formation and Meaning of Marriage Disorder and Marriage
Authors
정영문김성태
Issue Date
Mar-2024
Publisher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Keywords
Joseon Dynasty; Marriage Disability; Naebang Gasa; <song the Old Lady>; the Bride; the Woman; 조선시대; 혼사장애; 내방가사; <노처녀가>; 신부; 여성
Citation
한국문학과 예술, no.49, pp 65 - 93
Pages
29
Journal Title
한국문학과 예술
Number
49
Start Page
65
End Page
9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9383
DOI
10.21208/kla.2024.03.49.65
ISSN
1976-8400
2465-8642
Abstract
소설과 설화 등의 서사문학에서는 혼인과 관련된 장애를 ‘혼사 장애’라 하였다. 이것은 남녀 두 주인공이 혼인을 성취하는 과정에 겪는 갈등과 그 문제를 해소하는 것에 주목한 것이다. 서사문학과 달리 조선의 현실에서는 혼사 장애에는 혼인을 성취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만 아니라 불행한 혼인 생활을 하게 되는 요인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내방가사에 형상화된 여성의 생활사 중에서 혼사 장애의 요소를 살펴보고, 이를 중심으로 문학적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내방가사에서는 ‘첩’과의 갈등이나 ‘남편의 죽음’으로 인해 발생한 외로움이나 혼인 지속의 문제가 상당량을 차지하지만, 만혼(晩婚)ㆍ늑혼(勒婚)ㆍ사기(詐欺) 결혼과 부조리한 혼사 제도 등도 혼사의 장애 요인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혼사장애를 만혼, 늑혼, 남편의 부재(不在), 사기 결혼 등으로 나누어 보았다. 만혼으로 인한 혼사장애의 모습은 삼설기본과 잡가본 <노처녀가>, 늑혼으로 인한 혼사장애의 모습은 <원한가>ㆍ<동상가>, 남편의 부재로 인해 발생하는 혼사장애의 모습은 <쳥츈과부곡>ㆍ<화전가>ㆍ<자탄회심곡>, 사기 결혼으로 인한 혼사장애의 모습은 <신가전>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w > Department of Global Law > 1. Journal Article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ung-Tae photo

Kim, Sung-Tae
College of Law (Department of Global Law)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