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북한 도시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 도시민 일상사의 콘텐츠 분석 틀을 중심으로 -open accessA Methodological Review of Urban Research in North Korea - Toward a Framework for the Contents of Everyday Life -

Other Titles
A Methodological Review of Urban Research in North Korea - Toward a Framework for the Contents of Everyday Life -
Authors
서문기
Issue Date
Apr-2024
Publisher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Keywords
Methodological Trend; Meta Analysis; Urban Research; Everyday Life Contents; North Korea; 방법론적 동향; 메타분석; 도시연구; 일상사 콘텐츠; 북한
Citation
문화콘텐츠연구, no.30, pp 33 - 61
Pages
29
Journal Title
문화콘텐츠연구
Number
30
Start Page
33
End Page
6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9560
DOI
10.34227/tjocc.2024..30.33
ISSN
2287-2256
Abstract
1990년 이후 시장이 형성되고 도시 공간과 도시민 삶의 변화가 나타남에 따라국가 중심의 북한 체제는 도시 자본주의 발전의 맹아 단계에 진입하면서 새로운 사회변화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듯이 북한 도시연구도 거시적 차원에서 북한 사회를 정태적으로 기술하는 접근에서 벗어나 도시 공간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동태적 변화의 미시적 요인에 초점을 두는 방향으로 점차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방법론도 지리정보체계, 디지털 문화기술지, 인공지능 및 딥러닝 등 첨단기술의 적용을 통해 일상사의 콘텐츠에 대한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는 새로운 시각에서 북한 도시연구의 지형에 접근함으로써 연구 내용의 확장성을 추구하고 다양한 연구 방법의 활용으로 자료 부족과 편중성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북한의 도시공간에 배태된 도시민의 심리구조를 규명할 수 있는 분석 틀을 마련하여 숨겨진 사회적 동인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은 향후 사회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출발점이 된다. 한반도 통일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시장화의 도입에 따른 북한사회구성체의 변화와 국가 및 시장의 함수관계에 따른 사회발전의 가능성을 현실적인 맥락에서 진단하고, 학제 간 또는 산학연 네트워크에 의한 혁신적인 연구 체계를 통해 지속적이고 누적적인 방식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Information Soci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uh, Moon-Gi photo

Suh, Moon-Gi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Information Soci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