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전문대생의 진로적응성 유형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예측변인의 영향 검증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Career Adaptability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Analyzing Determinants

Other Titles
Classifying Latent Profiles in Career Adaptability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Analyzing Determinants
Authors
김나리전주성
Issue Date
Apr-2024
Publisher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Keywords
전문대생; 진로적응성;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관여행동; junior college students;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ccupational engagement
Citation
한국교육논총, v.45, no.1, pp 317 - 343
Pages
27
Journal Title
한국교육논총
Volume
45
Number
1
Start Page
317
End Page
34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9566
DOI
10.55152/KERJ.45.1.317
ISSN
2950-8924
2950-9092
Abstract
본 연구는 전문대생의 진로적응성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유형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소재 B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282명의 전문대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 일원변량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생의 진로적응성 유형은 ‘진로적응 중하집단’, ‘진로적응 상집단’, ‘진로적응 보통집단’, ‘진로적응 하집단’, ‘진로적응 중상집단’ 등 다섯 가지로 도출되었다. 둘째, 전문대생의 진로적응성 유형 간에는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관여행동의 하위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전문대생의 진로적응성 유형 구분에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관여행동이 영향을 미쳤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문대생의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학교 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이를 보안할 후속연구를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un, Ju Sung photo

Jun, Ju Sung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