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신라 적석목곽분 기원 연구의 방향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병현-
dc.date.available2018-05-09T06:59:00Z-
dc.date.created2018-04-17-
dc.date.issued2016-10-
dc.identifier.issn2233-6230-
dc.identifier.uri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8471-
dc.description.abstract신라가 낙동강 이동지방을 지배하는 마립간시기, 즉 신라 전기에 수도 경주의 중심고분군에 출현한 적석목곽분은 지상적석식과 상부적석식의 두 유형이 큰 시차 없이 출현하여 각각 신라 중앙의 왕실과 귀족집단의 묘제로 조영되었다. 그러한 적석목곽분의 구조 가운데 묘곽의 형식이나 상부적석식의 묘광 내 목곽과 사방적석 등은 신라 조기 점토충전목곽묘와 석재충전목곽묘의 구조를 이어받은 것으로 보여, 그 기본적인 계승관계가 인정된다. 그러나 지상적석식 초기 대형분의 복잡한 내부구조와 거대 고총으로의 출현, 상부적석식에서 묘광 위의 상부적석과 호석으로 보호된 원형 고대봉토의 출현은 전시기 석재충전목곽묘로부터의 자생적인 진화·발전으로 보기 어렵다. 월성북고분군에서 고총 적석목곽분의 출현은 신라 조기 석재충전목곽묘로부터의 점진적인 변화·발전과정이라기보다는 여전히 신라 전기양식토기가 성립하는 4세기 중엽쯤의 돌연한 현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라는 사로국시기에도 외부 세계와 접해왔고, 고대국가로 성립하면서 중국에 견사하는 등 외부 세계와 접촉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한 신라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마립간시기에 적석목곽분이 출현하여 왕실 무덤부터 고총화한 데에는 외부로부터 받은 자극이나 충격도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상이 신라 적석목곽분의 출현과 관련하여 아직 필자가 갖고 있는 기본적인 생각이지만, 필자의 주장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학계에 제시된 신라 적석목곽분의 기원이나 계통론은 사실 모두 쉽게 입증되기 어려운 가설들일 뿐이다. 1990년대 초 울산 중산리유적의 발굴조사를 계기로 신라 적석목곽분의 목곽묘 자체발전설이 제기된 이후 이를 입증해 보려는 많은 노력이 있어 왔지만 별다른 성과는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목곽묘와 적석목곽분의 구조를 왜곡하거나 확대·과장한 해석들이 난무하였다. 가설을 입증하려는 노력은 더욱 계속되어야 하겠지만 정확한 사실들에 기초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자료를 왜곡하거나 확대·과장하는 해석은 지양되어야 한다. 그보다는 차라리 미래의 새로운 자료 출현을 기다리는 것이 온당하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중앙문화재연구원-
dc.relation.isPartOf중앙고고연구-
dc.subjectIncipient Silla phase-
dc.subjectEarly Silla phase-
dc.subjectwooden chamber tombs embellished with packed stones-
dc.subject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dc.subjectWolseong North Burial Ground in Gyeongju-
dc.subject신라 조기-
dc.subject신라 전기-
dc.subject석재충전목곽묘-
dc.subject적석목곽분-
dc.subject경주 월성북고분군-
dc.title신라 적석목곽분 기원 연구의 방향-
dc.title.alternativeResearch Directions on the Origins of the Silla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20292/jcich.2016.21.123-
dc.type.rimsART-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중앙고고연구, no.21, pp.123 - 175-
dc.identifier.kciidART002158577-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citation.endPage175-
dc.citation.number21-
dc.citation.startPage123-
dc.citation.title중앙고고연구-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병현-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58577-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subject.keywordAuthorIncipient Silla phase-
dc.subject.keywordAuthorEarly Silla phase-
dc.subject.keywordAuthorwooden chamber tombs embellished with packed stones-
dc.subject.keywordAuthor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dc.subject.keywordAuthorWolseong North Burial Ground in Gyeongju-
dc.subject.keywordAuthor신라 조기-
dc.subject.keywordAuthor신라 전기-
dc.subject.keywordAuthor석재충전목곽묘-
dc.subject.keywordAuthor적석목곽분-
dc.subject.keywordAuthor경주 월성북고분군-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other-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