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시조문학 연구 - 인공지능(AI) 제재 창작 시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ijo Literature Using Digital Analysis Technique - Based on the a creative Sijo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
- Authors
- Kim, Seong-moon; Kim, Ba-ro
- Issue Date
- Oct-2019
- Publisher
- 한국문화융합학회
- Keywords
- 시조; 고전문학;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 디지털인문학; 워드 임베딩; 인공지능인문학; Sijo; classical litera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Digital Humanities; Word Embedding; Artificial Intelligence Humanities
- Citation
- 문화와 융합, v.41, no.5, pp 747 - 772
- Pages
- 26
- Journal Title
- 문화와 융합
- Volume
- 41
- Number
- 5
- Start Page
- 747
- End Page
- 772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44641
- DOI
- 10.33645/cnc.2019.10.41.5.747
- ISSN
- 1225-0422
- Abstract
- 세계는 이른바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한 급격한 변화의 시기에 직면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선봉에는 바로 인공지능․로봇․나노․바이오 기술 등과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인공지능을 고전문학, 특히 시조 연구에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결과이다. 시절가조로서의 시조는 변화하는 세상을 담아내기에 적합한 갈래로, 본고에서는 국어국문학과 전공수업 시간에 ‘인공지능(AI)’을 제재로 학생들이 창작한 작품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첫째, ‘형태소 분석, 둘째, KOSAC을 활용한 감정 분석, 셋째, FastText를 활용한 단어 임베딩, 넷째, K-mean 기법을 활용한 클러스터 분석의 4가지의 디지털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의미화 하였다. 다만,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작품이 질적, 양적으로 충분하지 못한 부분은 향후 보완해 나가야 할 부분이나, 개인 연구자가 수행하기 어려운 방대한 분량의 고전문학 텍스트를 연구하는 데 있어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방법론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지점에서 의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world is facing a period of rapid change through what it call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the converg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s, and nano and bio technologies is at the forefront of these changes. Against this backdrop, we have found a way to incorporate AI into classical literature, especially in the study of Sijo. The beginning of the era is a suitable division to capture the changing world, and the school used AI as a sanction in Korean language, Korean literature, and major classes as a research subject. Format, second, and emotion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KOSAC. Word embedding was conducted using FastText, and four digital cluster analyses using K-mean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the work and meaning of the result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e research methodology using AI can be secured
as the parts that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wher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work that are subject to analysis are insufficient, but the research needs and feasibility of studying the vast amount of classical literature text that is difficult for individual researchers to carry out.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The Office of Research Affairs >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