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통 모델과 인과지도: 인공지능적 접근Garbage Can Model and Causal Maps : A . I . Approach
- Authors
- 김동환; 배병룡
- Issue Date
- Dec-1989
- Publisher
- 한국행정학회
- Citation
- 한국행정학보, v.23, no.2, pp 701 - 719
- Pages
- 19
- Journal Title
- 한국행정학보
- Volume
- 23
- Number
- 2
- Start Page
- 701
- End Page
- 719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59092
- ISSN
- 1226-2536
2733-8754
- Abstract
- 1960년대를 전후하여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 I.) 이론은 여러 가지 학문 분야에 많은 기여를 해 왔으며 특히 인지심리학 분야에 많은 기여를 해 왔다. 그런데 조직과정을 의사결정의 과정으로 생각할 수 있다면, 인공지능이론은 이러한 학문적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A.I. 방법을 조직이론 혹은 사회과학 일반에 도입하려는 노력은 최근에 와서야 시도되고 있다. 1986년 Cohen은 조직이론에 A.I.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으며, 1989년 Masuch와 Lapotin은 본격적으로 A.I.의 방법을 사용하여 쓰레기통 모델을 확장시켰다. 본 논문의 목적은 A.I. 방법 특히 그 중에서 산출체계(production system)를 사용하여 쓰레기통 모델의 몇가지 특성을 선택하여 이와 Weick이 주장한 인과지도(causl map)의 개념을 연결시켜 모델을 만들어 보고, 이 모델로부터 몇 가지 의미를 도출해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우선 산출체계의 특성을 간단하게 서술하고 쓰레기통 모델에 왜 인과지도를 첨가할 필요가 있는지를 논의한다. 다음으로 사용하여 쓰레기통모델(garbage can model)과 인과지도(causal map)를 연결시켜 새로운 모델을 형성하고 이 모델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들을 논의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ublic Servic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