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교육 정책에 따른 커뮤니티댄스 연구동향: 토픽모델링 및 소셜네트워크 분석Community Dance Research Trend according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Topic Model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 Authors
- 한시완; 이제욱
- Issue Date
- Mar-2022
- Publisher
- 한국스포츠학회
- Keywords
- Community dance; Research trend; Topic modeling; Social network analysis; Data science; 커뮤니티댄스; 연구동향; 문화예술교육 정책; 토픽모델링; 소셜네트워크 분석; 데이터사이언스
- Citation
- 한국스포츠학회, v.20, no.1, pp 365 - 378
- Pages
- 14
- Journal Title
- 한국스포츠학회
- Volume
- 20
- Number
- 1
- Start Page
- 365
- End Page
- 378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61549
- DOI
- 10.46669/kss.2022.20.1.035
- ISSN
- 1738-3250
-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 정책에 따른 커뮤니티댄스의 연구동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텍스톰(Textom)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11년간(2010-2021) 총 131편의 국내논문을 수집하였다. 시기의 구분기준은 2018년 발의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반영하여 제1기(2010-2017)와 제2기(2018-2021)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넷마이너(Net Miner 4.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슈별 그룹화를 위한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시각화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기와 제2기가 유사한 토픽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제2기에서 키워드 중심으로 응집력과 중심화 경향이 높게 나타난 영역은 ‘정부주도’로 도출되었다. 둘째, 시기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연구되는 영역은 ‘소외계층’, ‘심리효과’로 확인되었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정책 전후에 따른 연구영역의 변화를 보여주는 영역은 제1기의 ‘예술가’와 제2기의 ‘기회균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강조한 것과 잘 매치되는 영역은 ‘교육과정 역량강화’, ‘지역문화’였다. 다섯째,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긴밀하게 연계되지 못하는 영역은 ‘문화콘텐츠’, ‘철학적 배경’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분야와 문화예술교육 정책분야의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The Office of Research Affairs >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