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건강심리학 연구의 동향과 지향점Trends and Directions in Research of the Korean Health Psychology

Authors
이경주이채빈남기연현명호
Issue Date
Nov-2024
Publisher
한국건강심리학회
Keywords
Health Psycholog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Research Trends; Reproducibility Crisis; generative AI; 건강심리학;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연구 동향; 재현성 위기; 생성형 AI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29, no.6, pp 1255 - 1269
Pages
15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ume
29
Number
6
Start Page
1255
End Page
126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78022
DOI
10.17315/kjhp.2024.29.6.016
ISSN
1229-070X
2713-9581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에 실린 논문과 최근 APA에서 발간한 Health Psychology에 실린 논문을 바탕으로 건강심리학 분야의 연구자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목과 초록을 바탕으로 국내외 연구를 비교한 결과, 국내에서는 정신건강에 초점을 둔 연구가 많았고, 국외에서는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에 통합적으로 접근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의 주제를 보면, 국내외 모두 질병과 환자를 이해하기 위한 관계 탐색을 다룬 논문이 절반 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치료와 개입 관련 논문이 두 번째로 많았다. 그 뒤를 이어 국내에서는 진단/검사/평가 연구, 개관 및 리뷰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국외에서는 정책 및 커뮤니케이션 등에 대한 논문과 개관 및 리뷰 논문이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국내 건강심리학회에서는 정신건강뿐만 아니라 신체와 정신을 모두 다루는 연구와 건강심리학자의 역할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과 커뮤니케이션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심리학 연구결과가 재현되지 않는 재현성 위기와 생성형 AI의 사용과 같은 건강심리학 연구자와 학회에서 관심을 가지고 준비해야 할 주제에 대해 제언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yun, Myoung Ho photo

Hyun, Myoung Ho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