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폐쇄성수면무호흡 의심환자에서 무호흡-저호흡 지수와 연관이 있는 두개골 계측 변수 : 예비연구Cephalometric Variabl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pnea Hypopnea Index in Suspected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A Preliminary Study

Other Titles
Cephalometric Variabl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pnea Hypopnea Index in Suspected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A Preliminary Study
Authors
박수영황희영김응엽강승걸김선태박기형
Issue Date
Feb-2015
Publisher
대한생물정신의학회
Keywords
Cephalometry; Obstructive sleep apnea; 두계골계측; 폐쇄성수면무호흡증
Citation
생물정신의학, v.22, no.1, pp.14 - 19
Journal Title
생물정신의학
Volume
22
Number
1
Start Page
14
End Page
1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11705
ISSN
1225-8709
Abstract
폐쇄성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이하 OSA)은 수면호흡장애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전체 인구의 1~2%에서 발생한다.1) 수면 중 반복적인 상기도의 부분 혹은 전체 폐쇄에 의해, 흡기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공기의 흐름이 감소하거나 차단되는 것으로 발현한다. OSA 환자에서는 수면 중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면서 무호흡과 저호흡이 발생하며, 수면 중 각성으로 인한 수면의 질 저하와 간헐적 저산소증으로인해 신체적 건강의 위협이 초래된다. 수면다원검사는 OSA의 진단에 가장 객관적이고 정확한 검사이나, 방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비용이 많이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면검사실에서 하룻밤 수면을 취해야 한다는 불편 때문에 검사의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검사를포기하는 피험자들이 많다. 한편, 임상가의 측면에서도 임상증상만으로 OSA 환자인지를 확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든의심환자들에게 어려운 진단과정인 수면다원검사를 무차별적으로 권유하기가 부담스럽다. 한편, 서양의 OSA 환자와 비교해서 한국의 환자들은 뚱뚱한 체형, 짧고 굵은 목둘레 등의 신체적 특징이 없는 경우에도수면다원검사상 OSA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원인들은 한국인을 포함한 동양인들의 두개골 골격의 특징에기인한다는 보고들이 많다. 두부 계측 일반촬영 사진은, 다른 검사와 달리 촬영이 간단하고 설치비용과 촬영비용이 저렴하며, 경조직뿐 아니라 연조직의 형태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2) OSA의 빠른진단을 돕고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통상적인 검사로 추천되고 있다.3)4)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였을 때 두부 계측 일반촬영에서 OSA 환자의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다면, OSA가 의심되는 환자들에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기 이전에 미리 OSA의위험도를 예측하여 보다 급하게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할 환자들을 미리 선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두부 계측 일반촬영 사진을 바탕으로 한 지금까지의보고는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분석이 대부분이다. 두부 일반촬영 계측치들은 인종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5) 한국인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들에 대한 기준 자료로 받아들이기에는적합하지 않다. 또한, 정립위 혹은 앉은 자세에서 촬영된 두부계측 일반촬영을 토대로 이루어진 연구는 많지만, 환자의 수면위치인 앙와위에서 얻어진 영상을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이 예비연구에서는 OSA가 의심되는 한국인 환자를대상으로, 정립위와 앙와위에서 얻어진 두부 계측 일반촬영사진을 이용한 여러 계측 변수들과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어떤 계측 변수들이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필수 진단기준의 척도인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이하 AHI)와 유의한 연관이 있는지 발견하고자 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의과대학 > 의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eon Tae photo

Kim, Seon Tae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