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도시스프롤이 통근통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수도권 도시를 대상으로 -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진장익-
dc.contributor.author진은애-
dc.contributor.author이우종-
dc.date.available2020-02-29T01:46:25Z-
dc.date.created2020-02-12-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issn1226-7147-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15218-
dc.description.abstract도시확산에 따른 통근통행 변화와 그로인한 환경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국 및 유럽 국가들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도시계획 및 교통, 환경 등 관련분야에서 현재에도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중 하나이다. 도시가 확산됨에 따라 나타나는 저밀도 개발의 문제점은 녹지감소, 기반시설비용과 에너지사용 증가로 인한 사회적 비용증가, 사회분리(segregation)현상 및 토지이용의 기능적 분리뿐만이 아니라, 승용차 사용의 증가로 인한 교통체증과 에너지손실 및 대기오염 등 환경오염을 가중시켰다. 이러한 스프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압축도시(compact city) 및 스마트 성장(smart growth)에 관한 논의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외의 많은 연구들에서 도시스프롤(urban sprawl)은 도시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평가하는 반면, 스프롤은 더 나은 삶을 추구하는 인간의 자유로운 선택임을 강조하면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추구라는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연구들도 존재한다(Gordon and Richardson, 1997; Hayward, 1998; Kahn, 2001). 한편으로는 이러한 스프롤의 긍정적 부정적인 효과를 동시에 강조하기도 하며(Downs, 1999), 스프롤을 막기 위한 정책이 오히려 더욱 많은 사회적 비용을 초래한다고 주장하는 연구들도 진행되어져 왔다(Brueckner, 1990). 2000년 이후, 국내의 많은 연구들 또한 이러한 도시스프롤 현상을 정의하고, 원인과 문제점, 그리고 이를 객관적으로 수치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여러 방면으로 진행되어져 왔다(신정엽 외, 2012; 임은선 외, 2006; 김재익, 2008; 조재성, 2002). 특히 국내에서는 도시스프롤 현상을 난개발이라 정의하고, 난개발을 막기 위한 토지이용 및 교통 분야의 정책적 측면의 연구도 지속되어져 왔다(최은진 외, 2010; 이재영 외, 2002). 또한 직접적으로 도시스프롤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국내의 많은 통근통행 연구들이 통근거리의 증가와 승용차사용 증가의 원인으로 교외화(전명진 외, 2003), 사회·경제적 특성의 변화(송윤선 외, 2008), 직주불균형(김형태, 2009; 신상영, 2003), 고용입지의 변화(성현곤, 2006),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이소희 외, 2006), 주거환경(김진유 외, 2010) 등을 언급했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dc.relation.isPartOf국토계획-
dc.title도시스프롤이 통근통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수도권 도시를 대상으로 --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impacts of urban sprawl on the commuting pattern -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Area --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국토계획, v.48, no.5, pp.269 - 283-
dc.identifier.kciidART001815373-
dc.citation.endPage283-
dc.citation.startPage269-
dc.citation.title국토계획-
dc.citation.volume48-
dc.citation.number5-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진은애-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우종-
dc.subject.keywordAuthorUrban sprawl-
dc.subject.keywordAuthorMobility impact index-
dc.subject.keywordAuthorSpatial regression models-
dc.subject.keywordAuthorSpatial autocorrelation-
dc.subject.keywordAuthor도시스프롤-
dc.subject.keywordAuthor통행영향지수-
dc.subject.keywordAuthor공간회귀모형-
dc.subject.keywordAuthor공간자기상관-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