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근대 일본의 학제 형성과 역사 지식의 제도화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규수-
dc.date.available2020-02-29T02:46:00Z-
dc.date.created2020-02-12-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issn1229-7488-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15479-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에서는 일본의 근대 학제의 성립과 역사 지식의 제도화 과정을 개괄하고, 그 의의와 특성을 일본의 국민국가 형성과정과 관련하여 고찰했다. 본문에서는 일본 교육이념의 변천과정을 ‘학제’와 이를 개정한 ‘교육령’을 중심으로 개관하고, 소위 ‘교육개정령’ 공포 이후의 역사교육의 의의와 실체를 당시의 역사교과서를 살펴봄으로써 근대 일본의 역사인식이 어떤 방식으로 제도화되었는지 검토했다. 이것은 메이지 신정부의 교육이념과 그 변화의 흐름을 명확히 제시하는 일이며, 나아가 천황제 이데올로기 형성과 제국주의적 팽창의 사상적 연원으로서 역사교육의 역할을 규명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일본의 근대 학제와 역사교육은 메이지 신정부의 교육에 관한 개혁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메이지 신정부는 막번 체제를 무너뜨리고 천황을 통치수반으로 하는 중앙집권적 통치구조의 변혁을 이루어냈다. 신정부가 설정한 교육이념은 흔히 ‘피앙출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용적이며 자유주의적인 근대 실학교육사상과 공리주의에 입각한 ‘국민개학’과 교육의 기회균등 등을 이념으로 삼았다. 그러나 당시 일본 사회는 학제를 수행할 만큼 근대화되어 있지도 않았고 세부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교육제도조차 완성되지 않았다. 교과서 또한 대부분 서양서적을 번역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기에 교육내용이 너무 서양적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무엇보다도 일본의 전통적 교육이념, 즉 국체형성의 사상적 기반이었던 ‘유가사상’을 철저히 무시했던 점이 동의를 얻지 못하여 결국에는 좌절한다. 이에 메이지 정부는 ‘학제’의 강제적 취학과 정부의 간섭을 최대한 배제하고, 많은 부분 개인과 교육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취지의 이른바 ‘자유교육령’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 또한 당시의 실정과는 맞지 않는 이상적 교육제도였기에 이른바 ‘개정교육령’이라 불리는 두 번째 교육령이 만들어지게 된다. 여기에는 일본 사회 전반에 걸친 ‘구화사상’에 대한 반성과 전통유학과 ‘존황사상’을 합체시켜 강력한 신민을 형성한다는 ‘황도주의 이데올로기의 형성’이라는 정치적 의도가 작용했다. 1890년 모리에 의해 만들어진 교육칙어는 천황을 절대복종의 귀일적 신앙의 대상으로 만드는데 일조한 교육의 절대 규범으로 자리 잡았다. ‘대일본제국’의 신민에게 천황의 신성성과 불가침성의 관념을 유년시절서부터 정신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공유시키기 위해 정치적으로 창출된 의식을 통해 교육칙어는 국민도덕의 절대적 기준으로, 혹은 최고의 교육이념으로 신성시되었으며, 역사교과서는 이러한 천황의 신성함을 주입하는 내용으로 개정되었다. 일본의 역사교육은 각종 정령 공포를 통해 교육의 목표를 ‘애국심 배양’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는 천황주의 이데올로기 교육의 강화로 이어졌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사학사학회-
dc.relation.isPartOf韓國史學史學報-
dc.title근대 일본의 학제 형성과 역사 지식의 제도화-
dc.title.alternativeThe Formation of Educational System of Modern Japanese and Institutionaliz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韓國史學史學報, no.27, pp.395 - 431-
dc.identifier.kciidART001779493-
dc.citation.endPage431-
dc.citation.startPage395-
dc.citation.title韓國史學史學報-
dc.citation.number27-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규수-
dc.subject.keywordAuthorHistory-
dc.subject.keywordAuthorEducational system-
dc.subject.keywordAuthorHistory Education-
dc.subject.keywordAuthorHistory textbooks-
dc.subject.keywordAuthorJapanese history-
dc.subject.keywordAuthor역사학-
dc.subject.keywordAuthor학제-
dc.subject.keywordAuthor역사교육-
dc.subject.keywordAuthor역사교과서-
dc.subject.keywordAuthor일본사-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