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가족건강성이 힐링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기관의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애련-
dc.date.available2020-02-27T06:42:16Z-
dc.date.created2020-02-12-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issn1738-3382-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259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자원봉사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결혼상태, 성별, 연령, 학력, 생활수준, 종교, 건강상태, 힐링의미인지수준), 가정생활변인(관심과 지지도, 가정욕구충족도, 가족공유시간), 가족건강성변인(존중감사. 소통문제해결, 사회와의 유대. 경제적 안정, 가치관공유)에 따라 힐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로 자원봉사기관의 자원봉사자 310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가정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t- test, AN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생활변인 중 관심과 지지도는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힐링의미인지수준이 많을수록 관심과 지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욕구충족도는 결혼상태에서 미혼보다는 기혼, 성별에서는 남자보다 여자가, 생활수준, 건강상태, 힐링의미인지수준이 높을수록 가정욕구충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가족과 함께하는 가족공유시간은 남자보다는 여자, 생활수준이 높으며, 건강상태가 좋고, 힐링의미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공유시간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변인은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힐링의미인지를 많이 할수록 가족건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변인에 따른 힐링은 결혼상태에서 미혼보다 기혼이, 남성보다는 여성이,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힐링의미인지를 많이 할수록 힐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힐링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가정생활, 가족건강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힐링을 종속변인으로 1단계에서 사회인구학적변인, 2단계에서 가정생활변인, 3단계에서 가족건강성변인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3단계에서 가족건강성변인을 추가로 투입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p<.001) 설명력은 82.9%로 2단계에 비해 설명력은 3.6%(p<.001) 증가하였다. 힐링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가족이나 주위사람들의 관심과 지지도가 높을수록, 가정욕구충족도가 높을수록, 가족과 함께하는 가족공유시간이 많을수록, 존중감사를 많이 할수록, 가족간의 문제해결을 위해 의사소통을 많이 할수록, 힐링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기관의 자원봉사자들의 사회인구학적변인, 가정생활, 가족건강성이 힐링에 미치는 요인으로 가정생활에 있어 주위사람이나 가족이 관심지지도가 높으며, 가족욕구충족도가 높고, 가족공유시간이 많으며 가족간에 존중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며 가족간에 갈등이나 문제가 있을 때 문제를 합리적으로 의사소통을 통하여 해결하고, 사회와의 유대를 가지고. 경제적 안정을 하며, 가족들이 함께 가치관을 공유하는 등 가족건강성요인이 힐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로는 현대가정이 급속한 사회변화에 따라 가족의 이혼율과 가족해체 등 우리가 몸담고 있는 가정생활이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어 가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므로 가정건강성을 통해 힐링으로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힐링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가족건강성요인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제안해 본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아시아.유럽미래학회-
dc.relation.isPartOf유라시아연구-
dc.title가족건강성이 힐링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기관의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Influence of Family Health on Healing -Focusing on volunteers of volunteer organizations--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identifier.doi10.31203/aepa.2019.16.1.00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유라시아연구, v.16, no.1, pp.147 - 176-
dc.identifier.kciidART002451880-
dc.citation.endPage176-
dc.citation.startPage147-
dc.citation.title유라시아연구-
dc.citation.volume16-
dc.citation.number1-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애련-
dc.subject.keywordAuthor원봉사자-
dc.subject.keywordAuthor가정생활-
dc.subject.keywordAuthor가족건강성-
dc.subject.keywordAuthor힐링-
dc.subject.keywordAuthorvolunteer-
dc.subject.keywordAuthorfamily life-
dc.subject.keywordAuthorfamily health-
dc.subject.keywordAuthorhealing-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정책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