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향가와 김영랑 시의 비교 고찰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재홍-
dc.date.available2020-02-27T12:44:23Z-
dc.date.created2020-02-12-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issn1226-5578-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4427-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현대시의 전통 계승 양상을 탐색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김영랑의 4행시를 중심으로 향가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4행을 기반으로 8행, 12행 형태의 영랑 시는 향가의 하위 장르인 4행, 8행, 10행 향가와 두루 비교할 만하다. 이를 통해 우리말 시 형태의 상호 관련성과 함께 향가의 형성 경로까지 짐작해 볼 수 있다. 먼저 형식 면에서 영랑 시와 향가를 비교하였다. 단어, 구절, 문형 등의 반복이 특징인 영랑 4행시는 1행 단위의 aa'bc(abcc', aa'bb'), abcb'(abca'), abcd 세 유형으로 분류되는 데 비해 4행 향가는 반복구를 활용한 작품조차도 abcd형으로 분석된다. 전자가 의미의 반복, 순환에 치중한 형태라면 후자는 의미의 확장을 위주로 한 것이다. 영랑 8행시는 2행 단위의 ABCD형이 대부분인데 이는 8행 향가도 마찬가지이지만 그 바탕에 4행-4행의 결합 구조가 깔려 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2행이 중심이 되어 시 형태를 이룬다거나 4행시의 1행 단위 유형이 2행 단위로 확장하여 8행시가 될 수 있다거나 하는 점을 추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랑의 <영랑시선-9>, <영랑시집-49> 등은 3구의 10행 향가와는 감탄사의 위치, 제3구의 행수 등에서 차이가 있지만 3단 구성의 의미 구조에서 공통된다. 향가의 기본 음보인 3음보보다는 4음보가 많고 내재율을 구사한 점이 다르긴 하지만 영랑 시가 2행과 4행을 기본 단위로 하여 더 큰 단위의 시 형태를 이룬 것은 형성기에 진행되었을 4행, 8행, 10행 향가의 양식화 과정을 짐작하게 한다. 다음으로 내용 면에서 비교해 보았다. 서정시적 특질을 공통점으로 하여 월명의 <제망매가>와 영랑의 <영랑시집-45>(<모란이 피기까지는>)를 비교하였는데 두 작품은 공히 상실감과 비애감이 나타나고 ‘기다림’에 의한 회복의 의지가 표현되었다. 그러나 전자가 생사의 길에서 초월적 전망을 얻는 변증법적 시상 전개를 보이고 후자는 경험적 정서의 표출에 따른 의미의 반복, 순환이 나타난다. <도솔가>와 <영랑시집-31>은 둘 다 4행시인데 국가의 공식 행사에서 ‘꽃’에게 미륵 좌주를 모시라고 명하는 전자에 비해 후자는 종다리의 ‘곡조’에 심취하여 그 원천을 상상함으로써 시의 새로움을 갈망한다. 시적 대상에 대한 감정 이입을 통해 관념이나 이상을 추구하는 서정시적 특질이 상통한다. 다음으로 8행시의 내용적 비교도 시도하였다. <처용가>는 안과 밖의 대비적 흐름 속에 시각, 촉각 등이 활용되었는데 <영랑시집-1>(<끝없는 강물이 흐르네>)도 감각과 동적 흐름의 심상을 보여 준다. 그러나 화자의 눈이 밖에서 안으로 들어와 눈앞의 상황을 직시하여 대처 방안을 찾으려는 전자에 비해 후자는 눈이 대상을 보고 나서는 감긴 상태가 되어 내면의 느낌에 집중한다. 또한 전자는 감각의 작동에 이은 의식의 움직임이 역동성을 띠는 데 비해 후자는 ABCA'형에 따라 내면의 느낌이 순환하는 유동성을 보인다. 본고는 향가와 김영랑 시의 비교를 통해 시대를 넘어 관류하는 우리말 서정시의 형식과 내용의 상관성을 찾아보았다. 영랑 시의 향가적 특질을 살핀 것에서 다른 현대시로 확대함으로써 좀 더 포괄적인 논의로 발전할 필요가 있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시가학회-
dc.relation.isPartOf한국시가연구-
dc.title향가와 김영랑 시의 비교 고찰-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f Hyangga and Kim Yeongrang’s poems-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identifier.doi10.32428/poetry.45..201812.24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시가연구, v.45, pp.243 - 268-
dc.identifier.kciidART002410831-
dc.citation.endPage268-
dc.citation.startPage243-
dc.citation.title한국시가연구-
dc.citation.volume45-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신재홍-
dc.subject.keywordAuthorHyangga-
dc.subject.keywordAuthorKim Yeongrang-
dc.subject.keywordAuthor4-lines poem-
dc.subject.keywordAuthor10-lines Hyangga-
dc.subject.keywordAuthor3-stages formation-
dc.subject.keywordAuthorthe theme of loss-
dc.subject.keywordAuthorlyrical feature-
dc.subject.keywordAuthor향가-
dc.subject.keywordAuthor김영랑-
dc.subject.keywordAuthor4행시-
dc.subject.keywordAuthor10행 향가-
dc.subject.keywordAuthor3단 구성-
dc.subject.keywordAuthor상실의 주제-
dc.subject.keywordAuthor서정시적 특질-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한국어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n, Jae Hong photo

Shin, Jae Hong
AI Humanitie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