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신어로 바라본 한국의 대중문화: 1994년, 2004년, 2014년 신어를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한데로-
dc.date.available2020-09-14T01:35:34Z-
dc.date.created2020-09-14-
dc.date.issued2020-08-
dc.identifier.issn1975-9150-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78201-
dc.description.abstract단어를 만드는 것은 특정 화자 개인이지만, 단어는 언어 공동체 내에 수용(공인화)될 때 비로소 온전한 지위를 유지할 수 있다. 초기 단어 형성 과정도 사회적(언어 외적) 맥락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는 점에서, 단어의 탄생과 확산은 사회‧문화적 요소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신어는 사회 변화와 새로운 문화 현상의 출현을 가시적으로 드러내는 결과물이다. 구성원 다수의 삶 속에서 활발히 생산되고 소비되는 문화 전반을 ‘대중문화’로 이해한다면, 대중문화는 ‘텍스트의 생산, 생산된 텍스트, 텍스트의 수용’이 복합된 결정체이다. 이러한 대중문화의 특성은 신어가 지닌 ‘임시어의 형성, 임시어, 임시어의 공인화’와도 정합적으로 대응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곧 ‘대중문화’와 ‘신어’의 상관성에 집중함으로써 신어를 매개로 각 시대별 대준문화의 제 양상을 정밀하게 관찰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 글은 국립국어원에서 발표해 온 1994년, 2004년, 2014년 신어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각 단어가 형성 당시의 사회적 맥락과 어떠한 연결 고리를 지니는지 찾고, 이를 통해 일부 신어로부터 시대별 사회 및 문화 요소를 포착해 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각 시기 신어에서 드러나는 구성적 형식은 물론이고, 몇 가지 주제별(‘의식주’, ‘방송/미디어, 공연/영화/음악’, ‘컴퓨터/통신, 인터넷/휴대폰’, ‘건강/스포츠, 취미/여행, 미용/쇼핑’) 내용에 따른 경향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해당 시기의 기사 자료를 참고하면서 신어 형성 과정에 당시의 어떠한 사회적 사건과 배경이 관여하였는지 기술하였다. 아울러 오늘날까지도 지속적으로 쓰이고 있는 단어와 현재 그 쓰임을 거의 찾기 어려운 단어들도 함께 언급하였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dc.relation.isPartOf아시아문화연구-
dc.title신어로 바라본 한국의 대중문화: 1994년, 2004년, 2014년 신어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Korean Popular Culture and Neologisms: Focused on Neologisms in 1994, 2004, and 2014-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identifier.doi10.34252/acsri.2020.53..00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아시아문화연구, v.53, pp.85 - 120-
dc.identifier.kciidART002624806-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120-
dc.citation.startPage85-
dc.citation.title아시아문화연구-
dc.citation.volume53-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한데로-
dc.subject.keywordAuthor신어-
dc.subject.keywordAuthor대중문화-
dc.subject.keywordAuthor맥락-
dc.subject.keywordAuthor언어 공동체-
dc.subject.keywordAuthor공인화-
dc.subject.keywordAuthor임시어-
dc.subject.keywordAuthor텍스트-
dc.subject.keywordAuthorneologism-
dc.subject.keywordAuthorpopular culture-
dc.subject.keywordAuthorcontext-
dc.subject.keywordAuthorspeech community-
dc.subject.keywordAuthorinstitutionalization-
dc.subject.keywordAuthornonce word-
dc.subject.keywordAuthortext-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한국어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ong, Handero photo

Jeong, Handero
AI Humanitie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