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시간거리와 업종적합성을 고려한 R&D센터의 입지 평가모델A Location Assessment Model for R&D Institutions Considering Time-Distance and Industrial Sectors

Other Titles
A Location Assessment Model for R&D Institutions Considering Time-Distance and Industrial Sectors
Authors
김창현김영롱진영현
Issue Date
Feb-2019
Publisher
대한지리학회
Keywords
location assessment; R& D institution; technology credit rating; spatial clustering; time-distance; 입지평가; R& D 센터; 기술신용평가기업; 공간군집; 시간거리
Citation
대한지리학회지, v.54, no.1, pp.17 - 34
Journal Title
대한지리학회지
Volume
54
Number
1
Start Page
17
End Page
3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85831
ISSN
1225-6633
Abstract
지역경제발전을 위해 도입한 지역 연구개발 기반구축시설(R&D센터)의 지속가능성과 효용성에 대한 의문이 제시되면서 R&D센터의 입지에 대한 평가모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R&D센터와 기술신용평가를 의뢰한 기업(TCB 기업)의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업종과 시간거리를 고려한 R&D 센터의 입지평가 모델을 수립하고 적용하였다. 첫째, 이 연구는 먼저 159개 R&D센터와 49,963개의 TCB 기업에 대하여 공간분포도를 작성하고 국지모란지수를 활용하여 공간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TCB 기업과 센터의 공간분포의 차이를 시각화하였다. 평가기업의 분포는 수도권 지역에 집중적으로 공간군집이 나타나는 반면, 센터의 경우 전국적으로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해 있어서 두 분포의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났다. 둘째, 업종적합도를 권역으로 평가하고, 시간거리와 주행거리를 물리적 거리지수로 계산하여 평가모델을 만들고 적용하였다. 상위 1위부터 20위까지 중 수도권과 수도권 외 지역에 위치하는 센터들로 확연히 구분되었다. 전자의 경우, TCB 기업이 군집해있기 때문에 권역내 업종적합도가 높은 기업이 많아 권역평가점수가 높게 나왔으며, 후자의 경우 업종적합도는 낮지만 물리적 거리지수가 높기 때문에 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델은 R&D 센터의 입지를 분석하는데 있어, 권역평가, 시간거리, 주행거리 등을 모두 고려하여 평가한 연구로서, R&D 센터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추후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ung-Long photo

Kim, Young-Long
College of IT Convergence (Department of smart cit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