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 후기 첩자계승과 첩의 가계계승 개입 양상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보람-
dc.date.accessioned2024-05-28T06:00:52Z-
dc.date.available2024-05-28T06:00:52Z-
dc.date.issued2024-04-
dc.identifier.issn1975-6283-
dc.identifier.issn2713-6752-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91273-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에서는 조선 후기 가계계승의 한 방식이었던 첩자계승의 예학적, 실제적 맥락을 검토하고, 이를 배경으로 일부 첩들이 가계계승 문제에 개입하는 양상들을 포착해보았다. 조선 후기 사회는 가계계승 문제에서 적서를 차별하는 움직임이 거센 한편으로 첩자를 친족 질서 내로 수용하려는 움직임도 동시에 일어나고 있었던 복잡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었다. 따라서 17세기 이후 입후가 본격적으로 확산되어 일정 부분 첩자계승의 자리를 대체한 속에서도 첩자계승 문제는 영향력 있는 유학자들 사이에서 쟁점이 되는 사안이었고, 실제 사례들에 있어서도 첩자계승이 입후로 자연스럽게 대체되었다고 보기에 어려운 모습들이 나타났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인간관계들 사이에 서로 다른 이해관계들이 얽히면서 상당한 갈등과 긴장이 수반되기도 했다. 첩자계승은 곧 집안 내 첩의 지위와도 관계되었을 터, 일부 첩들은 아들의 승적을 위해 적극 행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승적한 아들의 계승권을 지키고자 노력한 첩이 있었다면, 적손 계후자가 정해진 상황에서 아들의 승적을 위해 탈적을 꾀한 첩들도 있었다. 어느 쪽이든 첩자계승이라는 목표는 같았지만 그 성격이 달랐기에 첩들은 서로 다른 결말을 맞이해야 했다. 한편, 아들의 승적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첩은 정처와 불가피한 갈등을 겪기도 했다. 적손의 입후를 원한 정처와 첩자계승을 도모한 첩 사이의 갈등으로서, 이는 가계계승을 둘러싼 처첩갈등의 전형적인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첩은 기존의 엄격한 처첩질서에 균열을 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정처가 생존해 있는 한 아들의 승적과 관련한 첩의 행위성은 좌절되기 쉬운 한계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에서 살핀 첩의 모습은 조선 후기 가문의 가계계승 문제에서 이들 ‘주변부’ 여성들이 완전히 배제되어 있지만은 않았음을 보여준다. 오히려 이들은 자기 목숨을 걸 만큼 대담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했는데, 이는 첩에 대한 기존의 종속적 이미지와는 분명 다른 모습을 나타낸다. 이러한 면모는 조선시대 가족관계 내에서 혹은 종법 질서와의 관계 속에서 첩과 서얼의 복잡한 존재양태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dc.format.extent32-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dc.title조선 후기 첩자계승과 첩의 가계계승 개입 양상-
dc.title.alternativeSecondary-son Heirship and the Concubine’s Involvement in Family Succession in Late Joseon Society-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22943/kyujg.2024..64.00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규장각, no.64, pp 37 - 68-
dc.identifier.kciidART003079236-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citation.endPage68-
dc.citation.startPage37-
dc.citation.title규장각-
dc.citation.number64-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subject.keywordAuthorsecondary-son heirship-
dc.subject.keywordAuthorconcubine-
dc.subject.keywordAuthorfamily succession-
dc.subject.keywordAuthorelevating a secondary son to ritual heirship-
dc.subject.keywordAuthorconflict between wife and concubine-
dc.subject.keywordAuthordescent-line principle-
dc.subject.keywordAuthor첩자계승-
dc.subject.keywordAuthor-
dc.subject.keywordAuthor가계계승-
dc.subject.keywordAuthor승적-
dc.subject.keywordAuthor처첩갈등-
dc.subject.keywordAuthor종법-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