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가상적 수직 교합 고경 증가 시 안모의 유형에 따른 하안모 변화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남우-
dc.contributor.author이긍철-
dc.contributor.author문철현-
dc.contributor.author배정윤-
dc.contributor.author김지연-
dc.date.available2020-02-28T06:42:31Z-
dc.date.created2020-02-12-
dc.date.issued2016-01-
dc.identifier.issn0301-287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gachon/handle/2020.sw.gachon/9635-
dc.description.abstract목적: 수직 교합 고경 증가 시 발생하는 하안모의 변화가 안모의 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지 평가하여, 임상적으로 유의하여야 할 안모 유형을 알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진단을 위해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촬영한 환자 중 261명을 추출하여 그 대상으로 하였다. 시상적 안모 패턴은 Class I, II, III로 분류하였고, 수직적 안모 패턴은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로 나누어 환자를 9가지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환자를 가상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악 중절치 기준 2 mm 수직 교합 고경을 증가시킨 후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 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을 측정한 후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의 비율을 구하여 9가지 집단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서로 비교하였다. 비교분석은 2-way ANOVA로 검정하고 사후 분석은 Tukey test를 이용하였다. 모든 검정은 유의수준 5%에서 수행되었다. 결과: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은 Class I, II, III 간의 비교에서는 Class III 집단에서,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 간의 비교에서는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은 Class I, II, III 및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 집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 대 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 비율은 Class I, II, III 및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 집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9가지 집단 중 Class II & hyperdivergent 집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론: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 시 시상적 안모의 패턴 및 수직적 안모의 패턴에 따라 하안모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lass II & hyperdivergent 얼굴 패턴을 가진 환자는 수직 교합 고경 증가가 동반되는 치료 시 다른 유형에 비해 하안모의 변위량이 클 수 있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대한치과보철학회-
dc.relation.isPartOf대한치과보철학회지-
dc.title가상적 수직 교합 고경 증가 시 안모의 유형에 따른 하안모 변화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lower facial change according to facial type when virtually vertical dimension increases-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identifier.doi10.4047/jkap.2016.54.1.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대한치과보철학회지, v.54, no.1, pp.1 - 7-
dc.identifier.kciidART002076512-
dc.citation.endPage7-
dc.citation.startPage1-
dc.citation.title대한치과보철학회지-
dc.citation.volume54-
dc.citation.number1-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남우-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긍철-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문철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배정윤-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지연-
dc.subject.keywordAuthor수직 교합 고경-
dc.subject.keywordAuthor수직 고경-
dc.subject.keywordAuthorVertical dimension-
dc.subject.keywordAuthor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의과대학 > 의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Moon, Cheol Hyun photo

Moon, Cheol Hyun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