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浩然齋의 실낙원, 鰲頭의 고금 풍정The Lost Paradise of Hoyeonjae-Odu(鰲頭)'s Past and Present Landscape

Other Titles
The Lost Paradise of Hoyeonjae-Odu(鰲頭)'s Past and Present Landscape
Authors
이승수황인건민선홍
Issue Date
Oct-2021
Publisher
열상고전연구회
Keywords
김호연재(金浩然齋); 김성달(金盛達); 이옥재(李玉齋); 김시택(金時澤); 회덕(懷德); 오두(鰲頭); Kim Hoyeonjae(金浩然齋); Kim Sung-dal(金盛達); Lee Ok-Jae(李玉齋); Kim Si-taek(金時澤); Hoedeok(懷德); Odu(鰲頭)
Citation
열상고전연구, no.75, pp.91 - 125
Indexed
KCI
Journal Title
열상고전연구
Number
75
Start Page
91
End Page
12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40751
DOI
10.15859/yscs..75.202110.91
ISSN
1738-2734
Abstract
이 글은 김호연재(1681~1722)의 시 중에서 失鄕의 정서가 짙은 혼인 이후 작품들을 검토․분석하고, 그가 그토록 연연해했던 고향의 실체를 규명하며, 문학의 배경이자 역사의 현장으로서 호연재가 생장한 鰲頭 마을의 지리 형세를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절에서는 혼인 이후 호연재 시의 지리 공간이 고향 오두와 타향 懷德으로 나뉘며, 시에서 오두를 향한 강렬한 그리움이 드러남을 밝혔다. 호연재에게 있어 부모와 아홉 남매가 함께했던 오두에서의 유년 시절은 이상향인 동시에 잃어버린 낙원이었다. 3절에서는 호연재의 큰오빠 김시택이 묶은 것으로 추정되는 『안동세고』를 중심으로 호연재 유년 시절 오두의 情景을 재구했다. 호연재의 부모는 서로를 이해하고 신뢰하며 詩交를 나누는 지기였고, 그러한 일체감과 동질감은 자녀들에게로 대물림․확장되었다. 온 가족이 시를 짓고 시로 대화하는 문화 속에서 오두는 실낙원으로서의 형상이 짙어졌다. 4절에서는 1980년대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인한 오두 일대의 지형 변화를 검토하고, 변화 이전의 원형을 그려보았다. 오두의 장소 의미는 애초 호연재의 실낙원으로서만 주목하였는데,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우리 모든 현대인의 잃어버린 고향으로까지 확대되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인문과학대학 > 서울 국어국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EANG SU photo

LEE, SEANG SU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