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인 가구 주거공간의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 특성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정-
dc.contributor.author문승현-
dc.contributor.author신소현-
dc.contributor.author황연숙-
dc.date.accessioned2022-07-07T09:23:37Z-
dc.date.available2022-07-07T09:23:37Z-
dc.date.created2021-05-13-
dc.date.issued2020-12-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44191-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가족해체 및 학업과 구직기간 연장 등의 원인으로 한국 사회는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개발된 1인 주택모델은 사람들 간 소통이 단절되고 단편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주택모델 중 대표적 모델인 코하우징은 상호교류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제공하여 사람들의 교류를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인 가구를 위한 중규모형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 공간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코하우징 사례조사를 통해 코하우징의 공간 유형 및 커뮤니케이션 공간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바람직한 계획 방향을 제시하며 향후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2015년 이후 설립된 수도권의 10-29명을 수용할 수 있는 중규모형 코하우징 6개 사례를 대상으로 한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1인 가구, 코하우징에 대한 정의와 공간구성유형 중 커뮤니케이션 공간 유형을 파악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의 공간특성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도출한다. 셋째,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6개의 코하우징 사례를 현장조사하고 이를 분석한다. 넷째, 최종적으로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 공간구성과 공간특성에 대한 분석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나타나는 공간 특성을 접근성, 개방성, 상호작용성으로 분류하였다. 공간특성 중 개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첫째, 개방성의 경우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면적이 넓고 장애물이 적으며, 큰 창을 사용하여 채광을 도입하고, 흰색 벽면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개방성을 높였다. 또한 이용시간의 제한이 없으며 부분적으로 1층 카페 등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은 외부인의 출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개별 출입구를 통해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한다. 둘째, 접근성의 경우 대부분의 사례가 주출입구를 통해 자연스럽게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 바로 진입할 수 있고 표지판을 제공하는 사례도 많다. 대부분의 사례가 교차식의 공간배치방식이어서 층마다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있어 이용이 편리하다. 하지만 일부 주택은 엘리베이터가 없이 계단을 이용하고, 계단을 활용한 skip floor 디자인을 하고 있어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셋째, 상호작용성의 경우 모든 거주자를 수용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은 한정적이었으며 조명이나 가구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거나 거주자의 목적에 따라 용도를 변경하거나 대형가구의 배치를 변화시키기 어렵다. 또한 복도나 계단아래 공간 등의 포켓공간의 활용도가 낮으며 면적이 한정되어 있어 공간 배치와 위치를 바꾸기가 쉽지 않다. (결론) 현재 1인 가구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므로 코하우징의 공간배치와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다양화를 유도하고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향후 사용자 설문이나 인터뷰와 같은 접근 방법을 통해 세밀한 디자인 지침을 제안할 수 있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1인 가구 주거공간의 코하우징 커뮤니케이션 특성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y on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Co-housing-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황연숙-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5, no.8, pp.499 - 510-
dc.relation.isPartOf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5-
dc.citation.number8-
dc.citation.startPage499-
dc.citation.endPage510-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663221-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Single-person Households-
dc.subject.keywordAuthorCo-housing-
dc.subject.keywordAuthorCommunication-
dc.subject.keywordAuthorCommunication Space-
dc.subject.keywordAuthorSpatial characteristics-
dc.subject.keywordAuthor1인 가구-
dc.subject.keywordAuthor코하우징-
dc.subject.keywordAuthor커뮤니케이션-
dc.subject.keywordAuthor커뮤니케이션 공간-
dc.subject.keywordAuthor공간 특성-
dc.identifier.urlhttps://www.kisd.or.kr/data/thesisData/16093911711.pdf-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생활과학대학 > 서울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wang, Yeon sook photo

Hwang, Yeon sook
COLLEGE OF HUMAN ECOLOGY (DEPARTMENT OF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