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북촌한옥 실내공간의 전통과 현대적 융합특성Tradition and modern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Bukchon Hanok interior space

Other Titles
Tradition and modern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Bukchon Hanok interior space
Authors
이유리남경숙
Issue Date
Jun-2014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Modern Hanok; Spatial Characteristic; Expression Method; 현대한옥; 공간특성; 표현방법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15, no.3, pp.285 - 295
Indexed
KCI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15
Number
3
Start Page
285
End Page
29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44628
ISSN
1598-8635
Abstract
본 연구는 비지정문화재로 한옥의 활용에 따른 변화양상이 다양하고 자유로우며, 서울 도심에서 전통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북촌한옥마을을 연구범위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0년대 이후 신축된 5개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공간적 특성별 표현방법과 표현방법별 공간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공간적 특성은 채나눔에 의한 구성, 선과 면의 표현, 전이공간, 개방성과 폐쇄성, 연속성에 대해 분석하고, 표현방법은 직접적 표현방법, 변용적 표현방법, 추상적 표현방법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는 공간적 특성 및 사례별 표현방법의 분류로서 채 나눔은 사례의 대부분이 추상적 표현으로 나타났고, 선과 면의 표현은 변용적 표현, 전이공간은 직접적 표현, 개방성과 폐쇄성은 직접적 표현, 연속성은 변용과 추상적 표현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표현방법별 공간특성에 의한 분류로서 직접적 표현방법은 전이공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변용적 표현방법은 선과 면의 표현, 추상적 표현방법은 채 나눔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전통성을 구현하는 건축물 중 전통성을 패턴화, 조형화 하는 것에만 치중하고 근본적인 전통성을 잘 구현해내지 못한 경우가 많다. 전통성을 잘 구현해내는 것은 옛 것을 그대로 모방하거나 버리는 것이 아니라 전통성의 의미와 근본정신을 바탕으로 그것을 현대화 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현대한옥에서 전통의 재구현과 재창조를 위해서는 옛 것을 그대로 모방하거나 버리는 것이 아니라 전통성의 의미와 근본정신을 바탕으로 그것을 현대화 하여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전통 한옥의 공간적 특성을 현대화하여 기능적인 것과 현대인의 생활방식에 맞게 재창조되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생활과학대학 > 서울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am, Kyeong sook photo

Nam, Kyeong sook
서울 생활과학대학 (서울 실내건축디자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