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 경험디자인 만족도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종유지아-
dc.contributor.author남경숙-
dc.date.accessioned2022-07-09T14:00:24Z-
dc.date.available2022-07-09T14:00:24Z-
dc.date.created2021-05-13-
dc.date.issued2019-06-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47588-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전시는 단순히 전시품만 진열하는 것이 아니고, 관람객, 공간과 전시품의 상호작용 관계를 중시해야 한다. 인터랙션 디자인은 전시 형식을 정적인 형태에서 동적인 형태로 발전시키고, 실제 장면에서 가상 장면으로 전환시켜, 전시 공간에서의 감각적 체험을 높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을 대상으로 전시 공간에서의 경험의 만족도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 사례조사 및 설문조사의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8년 이후 서울에 있는 두 개 전시회를 선정하여 이곳을 방문한 적이 있는 관람객을 아동그룹과 성인그룹으로 구분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인 배경 및 요소를 정리하였다. 둘째, 경험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 항목을 제안하였다. 셋째, 사례를 선정하고 평가 항목을 이용하여 관람객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경험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 만족도를 파악하며,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만족도는 성인그룹이 아동그룹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인그룹은 다양한 형태의 전시, 정보의 공유, 의미 있는 감성형성에 만족하였고, 음악이 없고, 작품을 만질 수 없음에 불만족하였다. 아동그룹은 새로운 경험, 다양한 작품형태에 만족하였고, 작품을 만질 수 없고, 전시주제가 어렵다는 불만족 원인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에 적용된 경험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통해 나타나는 참여성, 역동성과 연상성 3가지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관람객 경험디자인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첫째, 참여성의 표현특성 중에 시각적>청각적>촉각적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다. 작품을 통해 관람객의 청각과 촉각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공간에서도 매체를 활용하여 관람객의 오감을 자극하고 직접적인 참여를 유발하면 작품이나 공간에 더욱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다. 둘째, 역동성의 표현 특성 중에 관람객은 체험을 통해 쉽게 조작하여 전시 공간에 잘 활용하고, 적극적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여 움직임을 통해 공간의 흐름을 보여주기를 원한다. 셋째, 연상성의 표현 특성에서 연상적 표현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장면 표현은 관람객의 감성을 유도할 수 있고, 새로운 인식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시주제와 이해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매체를 사용하는 방안이 준비되고, 관람객 중심의 다양한 인터랙션 디자인을 활용한 체험형 전시 공간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 경험디자인 만족도 연구-
dc.title.alternativeVisitors' Experience Design Satisfaction in Experience Exhibition Space Based on Interaction Design-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남경숙-
dc.identifier.doi10.35216/kisd.2019.14.3.11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4, no.3, pp.115 - 126-
dc.relation.isPartOf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4-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115-
dc.citation.endPage126-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478225-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Y-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경험디자인-
dc.subject.keywordAuthor인터랙션 디자인-
dc.subject.keywordAuthor체험형 전시 공간-
dc.subject.keywordAuthor전시 공간-
dc.subject.keywordAuthor관람객-
dc.subject.keywordAuthorExperience design-
dc.subject.keywordAuthorInteraction design-
dc.subject.keywordAuthorExperience exhibition space-
dc.subject.keywordAuthorExhibition space-
dc.subject.keywordAuthorVisitors-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4782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생활과학대학 > 서울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am, Kyeong sook photo

Nam, Kyeong sook
서울 생활과학대학 (서울 실내건축디자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