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청년문화, 영상시대와 새로운 성 해석, 낭만적 저항의 1970년대 한국영화(1972~1979)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태수-
dc.date.accessioned2022-07-10T14:59:27Z-
dc.date.available2022-07-10T14:59:27Z-
dc.date.created2021-05-13-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issn1975-5082-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48602-
dc.description.abstract1970년대의 한국영화는 한국사회의 문화와 예술을 결정지은 유신체제의 출범과 밀접한 관계 속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동시에 이 시기 한국영화의 특징이 유신체제를 초월해서 존재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1970년대의 한국영화는 유신체제를 강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이념이 영화 속에 어떻게 개입했는가와 그로부터 파생된 다양한 정책의 대응 과정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이 타당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 시기 한국영화를 더욱 위축시킨 것은 산업화로 인한 텔레비전 수상기 보급과 베이붐 세대의 성장으로 인한 영화 관객층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이는 청년문화 논쟁과 영상시대의 새로운 영화 개념을 촉발시켰다. 이는 1970년대 한국에 대중문화 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동시에 한국영화가 청년문화, 영상시대가 대중문화 시대와 물리적으로 결합되기 시작한 시기였지만 그것의 구체적 실천과 대안으로 발전하지 못했다는 것을 말한다. 영상시대는 그러한 한계를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하길종, 변인식을 비롯한 영상시대의 핵심 인물들은 유신시기 영화검열과 제도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였지만 그들의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텔레비전 수상기 보급으로 인한 영화 관람의 행태가 바뀜으로서 나타난 영화의 산업적 타격에 있었다. 이러한 영화산업의 실질적 어려움을 돌파하기 위해 영상시대는 기존의 영화제작 행태에서 벗어나 보다 정확한 관객 목표를 설정하고 그들에 맞는 새로운 제작수법을 통해 돌파하고자 했다. 이는 베이비 붐 세대의 성장으로 인한 대중문화의 주체세력이 바뀌었다는 현실적 문제도 고려된 것이다. 따라서 이 시기 영상시대의 목표는 대중문화의 중심, 즉 대중성을 확보함으로써 어려운 한국영화를 구출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등장한 것이 기존 영화의 관습적인 시각으로부터 벗어난 성에 대한 과감한 해석이고 청년문화 논쟁을 통해 대중문화의 주류로 떠오른 대학생과 젊은 청년들을 대상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 영화에는 유신체제의 억압적 요소들이 암시되고 있지만 그것은 유신체제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고 낭만적 저항이나 순응으로 마무리 되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1970년대 유신체제의 이데올로기가 그만큼 강고하게 작용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청년문화 논쟁과 영상시대로 이어지면서 시도된 성에 대한 과감한 해석과 낭만적 저항, 순응은 이 시기 한국영화의 새로운 시도가 다양한 역사적 관점을 갖도록 하게 한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dc.title청년문화, 영상시대와 새로운 성 해석, 낭만적 저항의 1970년대 한국영화(1972~1979)-
dc.title.alternativeKorean Films in the 1970s(1972~1979) -Youth Culture, Yongsang Sidae(The Visual Age), New Interpretation on Sexuality, and Romantic Resistance--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태수-
dc.identifier.doi10.15751/cofis.2019.15.4.14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현대영화연구, v.15, no.4, pp.145 - 168-
dc.relation.isPartOf현대영화연구-
dc.citation.title현대영화연구-
dc.citation.volume15-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145-
dc.citation.endPage168-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525528-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Y-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Yushin Regime-
dc.subject.keywordAuthorTelevision-
dc.subject.keywordAuthorBaby Boom Generation-
dc.subject.keywordAuthorPop Culture-
dc.subject.keywordAuthorYouth Culture-
dc.subject.keywordAuthorVisual Age-
dc.subject.keywordAuthorRomantic Resistance-
dc.subject.keywordAuthorCompliance-
dc.subject.keywordAuthor유신체제-
dc.subject.keywordAuthor텔레비전-
dc.subject.keywordAuthor베이비 붐-
dc.subject.keywordAuthor대중문화-
dc.subject.keywordAuthor청년문화-
dc.subject.keywordAuthor영상시대-
dc.subject.keywordAuthor낭만적 저항-
dc.subject.keywordAuthor순응-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예술·체육대학 > 서울 연극영화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ng, Tae Soo photo

Chung, Tae Soo
COLLEGE OF PERFORMING ARTS AND SPORT (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