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과 치료, 입원, 퇴원 절차에서의 정신장애인 지원 방안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제철웅-
dc.date.accessioned2022-07-12T23:49:31Z-
dc.date.available2022-07-12T23:49:31Z-
dc.date.created2021-05-13-
dc.date.issued2017-11-
dc.identifier.issn1976-5169-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51202-
dc.description.abstract2016년 9월 26일 헌법재판소가 구 정신보건법 제24조의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이 헌법에 불합치한다고 결정한 이래, 헌법재판소 결정 이전에 전면 개정되어 시행된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정신건강복지법이라 함)’ 제43조의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의 헌법합치성을 헌법재판소의 결정에서의 논리에 비추어 검토할 필요가 더욱 커졌다. 또한 정신건강복지법은 정신질환자의 비자의입원 요건을 매우 엄격하게 한 것의 정책적 함의를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글은 구 정신보건법이나 정신건강복지법의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병원 또는 정신요양시설에의 입원 또는 입소(이하 입원 등이라 함)가 공법 규정에 의한, 자유박탈적 효과를 수반하는 입원등이며, 부양의무자나 후견인의 민사법적 권한에 근거한 입원 등이 아님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폐쇄시설에의 입원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을 정도로 현재 또는 임박한 자해, 타해의 위험성이 있을 때에만 사회보호의 목적으로 한 비자의입원 등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이어 이 논문은 정신질환자의 비자의입원등의 요건을 엄격하게 함으로써 자의입원등, 개방시설에의 입원등, 지역사회에서의 치료로 전환하는 것에 정책적 목표의 중심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어서 법정책적으로는 정신질환자의 진단, 치료를 위한 비자의입원 등을 겪게 되는 정신질환자의 목소리가 비자의입원 절차에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점에서 현행의 부양의무자나 후견인을 보호의무자로 하여 정신질환자를 지원하도록 하는 것은 여러 가지 점에서 부적절함을 밝히고, 대신 독립성과 전문성 있는 기관 또는 개인이 비자의입원의 전체 절차에서 정신질환자의 목소리를 대변하여 질환 치료에 관계하는 모든 사람에게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dc.title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과 치료, 입원, 퇴원 절차에서의 정신장애인 지원 방안-
dc.title.alternative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Mental Health Improvement and Support of Social Welfare to Persons with Mental Illness Act and the Way to Support Persons with Mental Illness in the Process of Treatments, Admission to Psychiatric Hospitals and Discharge-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제철웅-
dc.identifier.doi10.15821/slr.2017.25.3.00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서울법학, v.25, no.3, pp.227 - 267-
dc.relation.isPartOf서울법학-
dc.citation.title서울법학-
dc.citation.volume25-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227-
dc.citation.endPage267-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288450-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Y-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정신보건법-
dc.subject.keywordAuthor비자의입원-
dc.subject.keywordAuthor보호의무자-
dc.subject.keywordAuthor의사결정지원-
dc.subject.keywordAuthor절차보조-
dc.subject.keywordAuthor정신보건 독립권리옹호-
dc.subject.keywordAuthorMental Heal Law-
dc.subject.keywordAuthorInvoluntary Admission-
dc.subject.keywordAuthorSupported Decision Making-
dc.subject.keywordAuthorProcedural Assistance-
dc.subject.keywordAuthorPersons with Protection Duty-
dc.subject.keywordAuthorIndependent Mental Health Advocacy-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28845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법학전문대학원 > 서울 법학전문대학원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 Cheol Ung photo

Je, Cheol Ung
SCHOOL OF LAW (SCHOOL OF LAW)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