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선호시설별 역세권 특성과 개인속성의 결정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기숙-
dc.contributor.author김훈-
dc.contributor.author성현곤-
dc.date.accessioned2022-07-15T17:49:54Z-
dc.date.available2022-07-15T17:49:54Z-
dc.date.created2021-05-14-
dc.date.issued2016-04-
dc.identifier.issn1226-7147-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54801-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대중교통 중심의 개발(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에 대한 관심 증대와 더불어철도시설 투자를 통하여 보다 환경 친화적인 교통체계와 도시발전을 추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최근의 TOD 계획과 정책은 철도역 등의 대중교통 결절점 주변의 물리적 환경과 접근성뿐만 아니라 그 곳에서 생활하는 또는 생활하게 될 인구적 특성(demographics)을 강조한다(Ewing and Cervero, 2010; 성현곤 외, 2012; 성현곤, 2014). 그러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역세권 개발에서는 거주하게 될 인구의 특성을 고려한 토지이용계획과 용도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추진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TOD는 대중교통 결절점 중심의 소규모 지역을 단위로 하는 근린형 개발일 뿐만 아니라 TOD 가 네트워크 중심의 대중교통회랑 중심의 개발로확장되어야 함을 강조(서민호 외, 2011; 홍성표외, 2015)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TOD는 지역의공간구조와 발전전략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음을Calthrope(1993)은 밝히고 있다(성현곤 외, 2012).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TOD는 인구학적 특성뿐만아니라 지역의 공간구조 변화와 발전을 도모할 수있는 중요한 개발기법이라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도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 및 도시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특히, 수도권에서 철도노선의 확장 및 신규 건설을 추진 중에 있다. 그 중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 Great Train eXpress) 는 경기도 및 인천과 서울의 주요 거점을 30분 이내에 연결함으로써 수도권 대부분 지역을 1시간대생활권으로 연결할 수 있는 신개념 대중교통수단이다(한국개발연구원, 2014). 이 건설사업은 총 3개노선으로, 이 중 1개 노선(동탄-삼성-서울역-대곡- 킨텍스)은 예비타당성을 통과하여 기본계획을 수립중에 있으며, 나머지 2개 노선은 노선 재조정 등의재기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2014)의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에서 광역급행철도 건설사업은 수도권 공간구조의재개편과 효율적 지역발전 방향과 연계해야 함을제언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GTX의 건설은 철도 노선의 교통망 계획일 뿐만 아니라 그 주변지역의 통합적 발전방안도 마련하여 추진해야 한다. 즉,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는 TOD의 관점에서 정차역 중심의 역세권 개발과 연계하여 개별 정차역 중심의점적인 개발과 네트워크 중심의 선·면적인 개발의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추진할 때 그 효과가 배가될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TOD 계획요소 중 가장 최근에 강조되고 있는 인구학적 속성(demographics) 과 정차역의 공간구조 관점의 입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추진하고 있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의 역세권 개발용도별 선호도가개인 및 가구수준의 인구학적 속성과 정차역의 지역별 속성에 의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 실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정차예정역의 인근에 거주하는 잠재적 이용 예정자들을 대상으로 개인 및 가구특성과 통행행태, 역세권 도입시설 선호도, 그리고 이들 정차역별 입지적 특성을 조사하여분석하였다. 분석방법론은 개인 및 가구 수준과 정차역별 입지특성에 대한 수준으로 대별되는 다수준회귀모형이다. 또한 시설 선호도는 7점 리커트 척도이므로 다수준 순위 로짓모형(multi-level ordered logit model)을 적용하였다. 조사 표본수는10개의 정차예정역별 유효표본 150명을 목표로 하였으므로, 총 1,500부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정차예정역 주변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시설선호도 차이를 밝힘으로써 역세권 개발의 사업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공간구조 측면의입지적 요인에 따른 선호도 차이를 밝힘으로써 광역급행철도의 운영에 대응한 지역발전 전략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자동차 중심의 교통체계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줄 것으로 판단된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dc.title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선호시설별 역세권 특성과 개인속성의 결정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Determinants Factors of Individual and Station Area in Preference by Stated Facility for the Regional Express Rail Transit in the Korean Capital Region-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성현곤-
dc.identifier.doi10.17208/jkpa.2016.04.51.2.12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국토계획, v.51, no.2, pp.127 - 140-
dc.relation.isPartOf국토계획-
dc.citation.title국토계획-
dc.citation.volume51-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127-
dc.citation.endPage140-
dc.type.rimsART-
dc.type.docType정기학술지(Article(Perspective Article포함))-
dc.identifier.kciidART002104477-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대중교통 중심 개발(TOD)-
dc.subject.keywordAuthor시설 선호도-
dc.subject.keywordAuthor역세권 개발-
dc.subject.keywordAuthor다수준 순위 로짓모형-
dc.subject.keywordAuthorTransit-Oriented Development-
dc.subject.keywordAuthorFacility Preference-
dc.subject.keywordAuthorRail Station Area Development-
dc.subject.keywordAuthorMultilevel Ordered Logit Model-
dc.identifier.url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663712-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도시대학원 > 서울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ung, Hyun gun photo

Sung, Hyun gun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