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을 연출하다: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과 국민화의 (불)협화음 (1933~1944)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청강-
dc.date.accessioned2022-07-15T21:40:24Z-
dc.date.available2022-07-15T21:40:24Z-
dc.date.created2021-05-13-
dc.date.issued2015-08-
dc.identifier.issn2383-6180-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56609-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1930-40년대 전시체제기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을 중심으로 식민지 조선의 대중문화가 어떻게 제국의 정치 및 자본의 전략 그리고 관객의 정체성과 깊은 연관을 가지며 공연되었는지 탐구한다. 식민지 조선에서 1930년대는 대중 공연문화가 규모나 영향력 면에서 매우 융성했던 시기였다. 이 중 악극은 서구와 일본의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아 화려하고 근대적인 무대를 만들어내며, 조선뿐만 아니라 일본과 만주에서 해외 순회공연을 펼칠 정도로 인기 있는 대중문화로 성장하고 있었다. 특히 조선악극단은 식민지시기를 통틀어 악극단 중에서 가장 큰 규모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1930년대에 조선에서 큰 인기를 얻기 시작해서, 일본(내지)과 만주(북지)까지 원정 공연을 펼친, 조선을 대표하는 공연단이었다. 그러나 이들이 공연을 통해 쌓은 대중적 친밀성은 1940년대 전시체제기에 돌입하면서 국가(일본)에 의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고, 점차 오족 협화와 내선일체의 슬로건 아래에 ‘조선적’이며 ‘국민적’ 공연을 하는 극단으로 변화했다. 더구나 1942년에 조선의 연예단체들이 연극문화협회로 통합되면서부터 악극은 일본의 ‘대동아공영’과 전쟁을 위한 동원문화의 선두에 섰다. 이 논문은 1930~40년대 조선악극단의 행적을 해외 공연을 중심으로 추적하여, 악극단의 세계진출을 위한 꿈과 제국의 국민화 정치가 어떻게 악극 공연에 녹아 ‘연출’되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전시체제기 제국의 동화와 국민화 정치가 식민지인과 식민지 악극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협력의 최전선에 있었던 조선인 악극단은 어떤 방식으로 이러한 시기를 생존하였는가? 다양한 제국의 관객들은 조선인 공연을 어떻게 소비하였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논문은 ‘연출’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조선악극단이 ‘조선의 기업’이라는 외피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연출’하였는지, 이것이 ‘조선붐’이 한창이던 제국의 일본인들에게 어떻게 젠더화, 인종화 된 방식으로 받아들여졌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1941년 이후 제국의 ‘국민화’ 정치가 공연의 내용에는 어떠한 변화를 만들어 내었는지, 또 이 과정이 공연자와 관객에게 어떤 사회적 의미를 만들어 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논문은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은 대중문화가 국가의 정치에 깊이 개입하면서도, 일본 내지의 일본인, 조선인, 만주에 주둔한 일본인 군인 등 다양한 관객과의 만남 속에서 다채롭게 변주하였음을 밝힌다. 또한 조선악극단의 해외공연에 참여한 기획자, 공연자, 그리고 관객의 문화적 횡단의 경험은 자신들의 정체성(identity)에 대한 다양한 자각(identification)을 만들어 내었음을 주장한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dc.title‘조선’을 연출하다: 조선악극단의 일본 진출 공연과 국민화의 (불)협화음 (1933~1944)-
dc.title.alternativePositioning Koreanness in Japanese Empire: Chosǒn Akgŭk Troupe and its Performance-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청강-
dc.identifier.doi10.16959/jeachy..62.201508.16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동아시아문화연구, no.62, pp.167 - 204-
dc.relation.isPartOf동아시아문화연구-
dc.citation.title동아시아문화연구-
dc.citation.number62-
dc.citation.startPage167-
dc.citation.endPage204-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022550-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전시체제-
dc.subject.keywordAuthor조선악극단-
dc.subject.keywordAuthor국민화-
dc.subject.keywordAuthor연출-
dc.subject.keywordAuthor협력-
dc.subject.keywordAuthor내선일체-
dc.subject.keywordAuthor다민족국가-
dc.subject.keywordAuthor인종-
dc.subject.keywordAuthor젠더-
dc.subject.keywordAuthor민족 정체성-
dc.subject.keywordAuthorTotal War-
dc.subject.keywordAuthorChosǒn akgŭk troupe-
dc.subject.keywordAuthortradition-
dc.subject.keywordAuthorcolonial Korea-
dc.subject.keywordAuthorJapanese Empire-
dc.subject.keywordAuthorassimilation-
dc.subject.keywordAuthormulti-ethnic empire-
dc.subject.keywordAuthorKoreanness-
dc.subject.keywordAuthorgender and race-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022550-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예술·체육대학 > 서울 연극영화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Chung kang photo

Kim, Chung kang
COLLEGE OF PERFORMING ARTS AND SPORT (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