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창조』에 나타난 초기 주요한 시 고찰 - 시적 자아의 양상을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선-
dc.date.accessioned2022-07-16T20:40:16Z-
dc.date.available2022-07-16T20:40:16Z-
dc.date.created2021-05-13-
dc.date.issued2011-05-
dc.identifier.issn2383-6180-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68448-
dc.description.abstract주요한은 근대문학의 선구자이며, 민요와 시조의 부흥을 통해 조선의 전통성을 살리고자 한 국민문학파라는 이원적인 평가를 받아 왔다. 이러한 평가는 평자들이 주로 시의 양식적 특성에 따라 시의 특성을 논한 데에서 비롯된 것이며, 또한 주요한 스스로 내놓은 담론의 결과물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주요한의 시는 좀 더 복잡한 양상을 지니고 있다. 초기 주요한의 시에는 양분된 시적 특성의 사이로 근대와 전통의 어느 지점에도 정박되지 못한 혼돈과 분열의 자아가 나타난다. 이는 근대 초기 불안과 소명의식이 교차하는 식민지 지식인의 보편적 상황에서 기인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주요한 스스로 지녔던 고민이 시를 통해 육화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는 게 보다 정확하다. 『창조』 단계의 주요한의 시는 하나의 특성으로 획일화할 수 없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다, 그의 시는 단형과 산문 등 시형 상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시적 정서와 시적 자아의 양상에서도 다면적 양상을 드러낸다. 무엇보다 그의 시의 자아는 분열적 양상과 전일적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초의 시집 『아름다운 새벽』에 게재된 시들은 자연을 대상으로 한 낭만적 정서와 더불어 미지의 영역에 대한 두려움을 표출하는 화자가 전일성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는 주요한뿐만 아니라 다른 시인들의 시에도 나타나는 양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주요한의 시에는 갈등과 분열의 정서를 지닌 자아의 혼돈이 나타난다. 특히 『창조』 1호부터 5호에 발표했던 시들의 경우 시적 자아의 분열이나 세계와의 거리감을 드러낸 시를 통해 식민지 근대에 대한 부정의 정서를 표출하였다. 하지만 이후 주요한은 조선의 정서와 전통을 나타내는 민요와 시조를 통해 조선문학을 세계문학의 반열에 올릴 것을 주창한다. 이러한 담론중심의 문학적 선언은 주요한의 문학에 대한 다채로운 특성들을 거세하는 결과를 낳는다. 전 시기에 걸쳐 주요한의 시적 궤도를 살펴보면 주요한은 스스로 계몽문학의 목적성에서 벗어나 미적 주체 성립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으나 민족을 선도하고 민족의 정신을 고취시키려는 사회적 소명에 몰입한다. 그러나 문학관이나 가치의 변화나 작품의 미학적 수준은 그에 미치지 못한다. 이는 내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의 길항 속에서 사회적 자아에 함몰, 미학적 측면에서는 후퇴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타자로서 근대초기를 살았던 시인의 내면의 혼란과 균열의 고통을 드러내는 시는 주요한의 시를 외래 추수적이거나, 전통지향의 추상적인 시를 양산한 시인으로만 평가하는 것이 지나치게 경직된 태도임을 확인시킨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dc.title『창조』에 나타난 초기 주요한 시 고찰 - 시적 자아의 양상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Chu Yo-han’s poetry in Changjo-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지선-
dc.identifier.doi10.16959/jeachy..49.201105.32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동아시아문화연구, no.49, pp.323 - 345-
dc.relation.isPartOf동아시아문화연구-
dc.citation.title동아시아문화연구-
dc.citation.number49-
dc.citation.startPage323-
dc.citation.endPage345-
dc.type.rimsART-
dc.type.docType정기학술지(Article(Perspective Article포함))-
dc.identifier.kciidART001555503-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근대성-
dc.subject.keywordAuthor전근대성-
dc.subject.keywordAuthor내적 자아-
dc.subject.keywordAuthor사회적 자아-
dc.subject.keywordAuthor전통미학-
dc.subject.keywordAuthor주체의 분열-
dc.subject.keywordAuthor시적 다양성-
dc.subject.keywordAuthor권력지향성-
dc.subject.keywordAuthormodernity-
dc.subject.keywordAuthorpre-modernity-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self-
dc.subject.keywordAuthortraditional aesthetics-
dc.subject.keywordAuthorthe division of Subject-
dc.subject.keywordAuthorPoetic diversity-
dc.subject.keywordAuthororiented for power-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1555503-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인문과학대학 > 서울 인문과학대학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ji sun photo

Kim, ji sun
COLLEGE OF HUMANITIES (COLLEGE OF HUMANIT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