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다분절 척추관 협착증의 장분절 후측방 유합술 -5년 이상 장기 추시 결과-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예수-
dc.contributor.author조재림-
dc.date.accessioned2022-10-07T11:57:12Z-
dc.date.available2022-10-07T11:57:12Z-
dc.date.created2022-09-19-
dc.date.issued2006-04-
dc.identifier.issn1226-2102-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72490-
dc.description.abstract=목 적: 다분절 척추관 협착증에서 장분절 후측방 유합술을 시행하여 장기 추시 결과를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후측방 유합술의 장기 추시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6월부터 1998년 5월까지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으로 3분절 이상의 장분절 기기 고정 및 후측방 유합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 중 최소 5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6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으로는 Katz 등의 술 후 만족도 분류와 Oswestry 장해 평가법을 이용하였고, 인접 분절의 변화에 대해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Lenke 등의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 골 유합의 정도를 판정하였다.결 과: 평균 추시 기간은 94개월(61-156)이었고, 남자는 14명, 여자는 48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8.7세(37-78) 였다. 평균 유합 분절은 3.97분절(3-8)이었고, 제1 천추까지 유합하는 고정 유합술(fixed fusion)이 60예(96.8%), 부동 유합술(floating fusion)이 2예(3.2%)였다. 임상적 평가에서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에 있어서 Katz 분류에 의한 평가는 48예(77.4%)에서 만족 이상의 결과를 보여주었고, Oswestry 점수(ODI)는 평균 30.0% (6-88)을 보여주었다. 유합 분절수에 따른 ODI는 3분절 유합 25.8%, 4분절 유합 33.6%, 5분절 유합 25.9%로 모두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유합 분절수에 따른 ODI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383). 방사선 소견상 추간판 간격의 감소는 25예(40.3%), 견인골극은 26예(41.9%), 추체 골단판의 골 경화상은 22예(35.5%), 추간판 내 진공현상은 7예(11.3%)에서 보였다. 인접 분절의 변화 항목 중 1개 이상의 변화를 보인 경우는 34예(55.0%)였으며, 이 중 25예(73.5%)에서 ODI (38%)는 '만족'이상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인접 분절의 변화가 없는 경우는 28예로 이 중 24예(85.7%)에서 ODI (21%)의 만족도를 보여 두 군 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p=0.350). 골 유합은 1예를 제외한 전예에서 Lenke A, B등급을 보여주었고 추시 소견상 1예(1.6%)에서 최종적으로 가관절증으로 진단되었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대한정형외과학회-
dc.title다분절 척추관 협착증의 장분절 후측방 유합술 -5년 이상 장기 추시 결과--
dc.title.alternativeLong-segment Posterolateral Fusion with Instrumentation of the Multi-level Spinal Stenosis -Long-term Follow up over the 5 Years--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예수-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대한정형외과학회지, v.41, no.3, pp.268 - 273-
dc.relation.isPartOf대한정형외과학회지-
dc.citation.title대한정형외과학회지-
dc.citation.volume41-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268-
dc.citation.endPage273-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007185-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Multi-level spinal stenosis-
dc.subject.keywordAuthorLong-segment posterolateral fusion-
dc.subject.keywordAuthorMulti-level spinal stenosis-
dc.subject.keywordAuthorLong-segment posterolateral fusion-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07185-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의과대학 > 서울 정형외과학교실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Ye Soo photo

Park, Ye Soo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