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청년 사회활동에서 배움의 의미 탐색을 위한 질적 사례연구: 경험학습의 세 가지 차원 모형을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수민-
dc.contributor.author최순리-
dc.contributor.author송지훈-
dc.date.accessioned2023-09-11T02:08:27Z-
dc.date.available2023-09-11T02:08:27Z-
dc.date.created2022-10-06-
dc.date.issued2022-09-
dc.identifier.issn1598-2106-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190467-
dc.description.abstract목적 본 연구는 청년들이 자발적으로 단체를 형성하고 사회활동을 경험하는 과정으로부터 도출된 배움의 의미를 경험학습의 세 가지 차원 모형에 근거하여 심층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됐다. 방법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으로 진행됐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자의 최초 문제의식 및 연구 골자, 연구문제를 도출했다. 둘째, 질적 자료 수집을 위해 단체 내에서 5년 이상 장기적으로 사회활동을 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의도적 표집을 통해 연구참여자6명 선정 후 심층면담을 진행했다. 연구참여자의 평균 활동 연수는 6년 8개월, 평균 나이는 26세였으며, 현재 상황은 취업준비생부터 재직자까지 다양했다. 셋째, 질적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진행했으며, 범주화 과정에서 연구참여자가 사용한 단어와어구를 활용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삼각검증법, 연구참여자 확인법, 연구진 상호 동료 보고를수행했다. 결과 첫째, 내용 차원은 지식과 이해, 기능과 관련한 6개 범주로 구성되며, 청년들이 사회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우연한 상황 속에서자신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발견해 나간다는 배움의 의미를 도출했다. 둘째, 보상 차원은 동기와 의지, 감성에 관한 6개 범주고구성되며, 청년들이 자신의 정신과 신체 간 균형을 지속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적극 탐색한다는 점을 배움의 의미로 도출했다. 셋째, 사회성 차원은 행동과 대화, 협력에 관한 5개 범주로 구성되며, 청년과 관계 맺고 있는 다양한 자원 간 상호작용을 통해개인의 세계관이 확장됨을 배움의 의미로 도출했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 대한 제언은 첫째, 청년을 다양하게 특성화할 수 있는 연구대상이자 학습자로 보아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학습자 참여는 학습자가 교육 제도권 밖과 연계하여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포괄하는 넓은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기관은 교육과 학습의 영역뿐만 아니라 개인의 일상생활까지 고려한 열린 학습 생태계를 모색해야 한다. 넷째, 현재의 청년은 자신에게 적합한 경험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dc.title청년 사회활동에서 배움의 의미 탐색을 위한 질적 사례연구: 경험학습의 세 가지 차원 모형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qualitative case study for exploring the meaning of learning in youth social activities: Focusing on the three-dimensional model of experiential learning-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송지훈-
dc.identifier.doi10.22251/jlcci.2022.22.18.67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2, no.18, pp.675 - 694-
dc.relation.isPartOf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dc.citation.title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dc.citation.volume22-
dc.citation.number18-
dc.citation.startPage675-
dc.citation.endPage694-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883381-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경험학습-
dc.subject.keywordAuthor경험학습의 세 가지 차원 모형-
dc.subject.keywordAuthor청년-
dc.subject.keywordAuthor사회활동-
dc.subject.keywordAuthor배움의 의미-
dc.subject.keywordAuthorExperiential learning-
dc.subject.keywordAuthorThree-dimensional model of experiential learning-
dc.subject.keywordAuthorYouth-
dc.subject.keywordAuthorSocial activity-
dc.subject.keywordAuthorMeaning of learning-
dc.identifier.url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36878049-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사범대학 > 서울 교육공학과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Ji Hoon photo

Song, Ji Hoon
COLLEGE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