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이염 환자에서 상고실과 전상고실의 발달정도 및 측두골 함기화상태와 진주종의 임상양상 비교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진혁-
dc.date.accessioned2021-08-03T23:52:14Z-
dc.date.available2021-08-03T23:52:14Z-
dc.date.created2020-12-17-
dc.date.issued2008-04-2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anyang/handle/2021.sw.hanyang/65009-
dc.description.abstract목적: 진주종성 중이염 및 비진주종성 중이염, 대조군에서 상고실의 높이, 전상고실의 발달정도, 측두골 함기화 상태를 방사선 평가를 통해 비교하고 중이염 병변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진주종성 중이염 53례(상고실형 35례, 긴장부형 20례), 비진주종성 중이염 50례, 대조군 50례를 대상으로 측두골 전산화단층촬영 분석을 통해 상고실의 높이, 전상고실의 발달정도, 측두골의 함기율 및 이관의 개폐여부를 조사하였고, 후향적 의무기록으로 진주종성 중이염의 파급정도를 단계적으로 구분하였다. 상고실의 높이는 추골이 관찰되는 관상면에서 안면신경의 고실분지 위치부터 고실개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였고, 측두골의 함기화는 측반규관이 관찰되는 축상면에서 전체 측두골의 면적에 대한 함기화된 영역의 비율(함기율)을 측정하였다. 전상고실은 발달이 안 된 경우,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경우, 다발성 공간인 경우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결과:진주종성 중이염, 비진주종성 중이염, 대조군에서 상고실의 높이는 각각 5.11mm, 6.01mm, 7.40mm이고 함기율은 각각 21.7%, 18.8%, 42.2%로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상고실의 발달정도는 진주종성 중이염에서 발달이 안 된 경우가 68%로 가장 많았고, 하나의 공간, 다발성공간이 각각 30%, 2%였다. 비진주종성 중이염은 각각 60%, 30%, 10%, 대조군에서는 7%, 48%, 45%로 나타나 대조군으로 갈수록 전상고실이 발달하며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었다. 이관의 개폐 여부는 진주종성 중이염에서 부분 혹은 완전한 이관폐쇄를 보인 경우가 53%였고, 비진주종성 중이염에서는 23%, 정상 대조군에서는 0%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주종성 중이염을 상고실형과 긴장부형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상고실의 높이, 함기율, 전상고실의 발달정도 및 이관 개폐 여부는 두 그룹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진주종성 중이염에서 병변과 건측의 상고실 높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고실 진주종성 중이염의 병변 진행 정도를 등급으로 나누어 함기율과의 연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중이염 환자에서는 상고실, 전상고실의 발달정도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 이들 요소가 중이질환의 발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향 후 병변의 진행양상과의 구체적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dc.publisher대한이비인후과학회-
dc.title중이염 환자에서 상고실과 전상고실의 발달정도 및 측두골 함기화상태와 진주종의 임상양상 비교-
dc.typeConferenc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진혁-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제82차 대한입인후과학회 학술대회-
dc.relation.isPartOf제82차 대한입인후과학회 학술대회-
dc.citation.title제82차 대한입인후과학회 학술대회-
dc.citation.conferencePlace서울 그랜드 힐튼 호텔-
dc.type.rimsCONF-
dc.description.journalClass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서울 의과대학 > 서울 이비인후과학교실 > 2. Conference Paper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ong, Jin Hyeok photo

Jeong, Jin Hyeok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