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국 초기 산수화와 병풍 구조 관계 연구The Relationship of Early Chinese Landscape Paintings and Screens as a Framing Device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of Early Chinese Landscape Paintings and Screens as a Framing Device
Authors
지민경
Issue Date
2020
Publisher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Keywords
산수병풍; 고분 벽화; 굴절병; 장자; 삽병; Screens of Landscape; Tomb Mural Painting; Multi-panel Freestanding Screen; Single-panel Wall-mount Screen; Single-panel Screen on Stand
Citation
조형디자인연구, v.23, no.2, pp.105 - 133
Journal Title
조형디자인연구
Volume
23
Number
2
Start Page
105
End Page
13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2217
ISSN
1229-1412
Abstract
중국 회화사에서 산수화는 현전하는 유물의 부족으로 그 발생과 초기 발전 과정이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문헌을 바탕으로 한 기존 연구는 산수화가 왜 탄생했으며 어떠한 전개과정을 거쳐 우리가 널리 인식하고 있는 산수화의 형식을 갖추게 되었는지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와 달리 최근 고고학적 발굴로 드러난 위진남북조 시대부터 북송, 금대까지의 고분 벽화 속 산수화 이미지를 통하여 초기 산수화 발달의 면모를 조망하고자 한다. 고분 벽화에는 특정 시대 산수화의 유행 양식뿐 아니라 ‘공간’ 내에서 산수화가 감상되고 활용되는 방식까지 보이는데, 특히 초기 산수화가 대부분 병풍에 그려져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남북조 시대부터 북송과 금에 이르기까지 고분 벽화에 등장하는 산수화를 중심으로 그 양식과 형태 변화의 흐름을 파악한다. 그 다음 산수화의 그림틀에 해당하는 병풍의 형태 즉 굴절병, 장자, 삽병 별로 산수화의 구도와 양식이 어떻게 다른지 살핀다. 이를 통해 산수화의 구도와 양식이 병풍의 형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초기 산수화의 전개는 병풍의 구조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이로써 지금까지 산수화 연구에서 중심이 되어왔던 형식적 측면들이나 화론, 화가, 후원자 등의 키워드로부터 벗어나 산수화라는 시각물이 감상되고 사용되는 방식을 고찰하여, 그 탄생과 발달의 새로운 면모를 밝힐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Department of Art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i, Min kyung photo

Ji, Min kyung
Fine Arts (Art Studi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