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자동차 실내공간 시트디자인의 소비자 감성 특성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승희-
dc.contributor.author최종석-
dc.date.available2021-03-17T08:41:06Z-
dc.date.created2020-07-06-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2928-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자동차 실내공간은 동적이며, 정적인 공간으로 오늘날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 환경으로의 변화는 실내공간의 더 많은 기능을 요구하고 있고 이용자에게 매우 중요한 감성을 전달하는 다중적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의 자료에 의하면 자동차 실내공간에서 시트에 대한 소비자의 중요성이 매우 높으므로 자동차 시트디자인은 사용자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맞게 변화되고, 만족을 전달하는 인터렉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측면에서 시트디자인은 변화 및 발전하여야 한다. 따라서 국내 자동차 시트디자인에 대한 세부적인 소비자의 심리적 감성 연구를 판매장에서 면담과 설문 및 통계연구를 통하여 경향에 대한 감성적 특성을 분석하고 종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트랜드에 대한 특성 분석을 위하여 2010년부터 국내자동차 시장에서 판매가 가장 많은 차종과 시트 종류를 연구대상으로 하고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의 소비자 자동차 트랜드를 조사, 분석하여 최근에 양산 및 판매되는 자동차 4사의 24종 시트를 선별하여 설문 및 통계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 및 분석 내용은 시트디자인에 있어 접근성에, 가시성, 용이성, 인지성, 안전성, 심리성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설문하고 분석하였으며, 설문자료를 기반으로 통계 연구를 실시하여 각 항목 및 내용별로 유의성을 도출하여 내용을 분석, 종합하였다. (결과) 시트디자인의 접근성에 있어서는 자동차 실내의 다른 요소가 물리적 부담에 영향을 미치며, 사용 시 어깨 부위 및 옆 라인의 경사에 대한 디자인적 고려가 필요하며, 가시성에 있어서는 시트의 조작 여부가 정보적 시각기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디자인 시 고려할 사항이며, 기능적 시각 반응은 형태와 컬러가 시각 반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인지성에 있어서는 컬러에 대한 시각 반응은 시트의 조작과 결부되며 패턴 및 엠보와 같은 재질이 조작 및 작동에 촉각적으로 인지 반응이 높고 안전성에 있어서는 편안함이 높을수록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높고 시각적인 요소가 조작 시 관계성이 높으며, 감성적인 편안함이 높고 촉감 측면의 재질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향후 시트디자인에 있어서 6항목의 내용이 개발 및 디자인에 체크리스트화 되어 고려사항이 되어야 하겠으며, 자율주행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감성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향에 의한 후각 및 소리에 의한 청각에 영향을 주는 시트가 개발 및 디자인되고 있어 향후 오감을 통한 인지성의 극대화가 경제성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측된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자동차 실내공간 시트디자인의 소비자 감성 특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onsumer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eat Design of Automobile-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종석-
dc.identifier.doi10.35216/kisd.2019.14.6.6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4, no.6, pp.61 - 72-
dc.relation.isPartOf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4-
dc.citation.number6-
dc.citation.startPage61-
dc.citation.endPage72-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517722-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Automobile-
dc.subject.keywordAuthorInterior space-
dc.subject.keywordAuthorSheet design-
dc.subject.keywordAuthorEmotional characteristics-
dc.subject.keywordAuthorSurvey-
dc.subject.keywordAuthor자동차-
dc.subject.keywordAuthor실내공간-
dc.subject.keywordAuthor시트디자인-
dc.subject.keywordAuthor감성 특성-
dc.subject.keywordAuthor설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