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신경미학을 기반 둔 단차의 형상 호감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Favor of Stairway Shape Based on Neuroaesthetics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vor of Stairway Shape Based on Neuroaesthetics
Authors
위란란조택연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Keywords
Neuroaesthetics(신경미학); Symmetry(대칭성); Stairway Shape(단차형상); Aesthetic Judgment(심미판단); Spatial Frequencies(공간주파수)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7, no.1, pp.237 - 246
Journal Title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ume
27
Number
1
Start Page
237
End Page
24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5930
ISSN
1598-6497
Abstract
오랫동안 건물의 기본 구성 요소로서 단차(계단)는공간을 연결해주는 기능뿐 아니라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었다. 거장들은 단차를 단순한 수직 통로로 건축에 종속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를 독립적인 생명력을 지닌 조형 원소로 보았다. 형식미와 질서미를함께 담고 있는 단차는 건축미를 강화함으로써, 사람과 건축이 ‘눈’으로 대화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이다. 과학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단차의 기능적 가치는 점차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로 대체되고 있지만, 이로 인해 오히려 단차의 시각적 가치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단차의 형상이다. 관련 문현을 수집하여 관련 정보를 얻는다. 인지 과학적, 신경미학적 관점에서 단차 인지되는 시각적 구조를 해석하고 보편적인 원리를 요약한다. 단차의 가치를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해하려고 시도한다. 연구의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을 기술한다. 2장은 신경과학적관점으로 심미적 판단과 미의 일반적 구조로서 단차의 대칭 원리를 분석한다. 3장은 두뇌 시각 피질 작동메커니즘의 관점에서 단차가 인지되는 시각적 구조를해석한다. 4장에서는 앞 두 장의 이론적 지식 내용을기반으로 단차의 형상이 가지는 시각적 아름다움의구성 요소와 단차 형상 호감의 구조를 분석한다. 단차에게 왜 호감을 느끼는지에 대하여 여러 이론적 시각으로 접근하는 것은 아주 실용적인 의미가 있다. 이런원리를 파악하면, 미적 기준에 맞는 단차 디자인을 더쉽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Industrial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Taig youn photo

Cho, Taig youn
Fine Arts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