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언어 이미지와 시각예술에 관한 연구 - 연구 작품 〈Vielheit〉 연작의 이미지의 형성과 의미를 중심으로 -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진-
dc.date.accessioned2021-11-11T05:43:54Z-
dc.date.available2021-11-11T05:43:54Z-
dc.date.created2021-11-10-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issn2005-5587-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7657-
dc.description.abstract예술가는 내면의 세계를 사회적으로 표출하는 방식으로 예술 작품을 택하지만, 그 내면 세계는 언어체계로 온전히 표현될 수 없는 실재이기 때문에 완전한 의미 전달은 이루어질 수 없다. 즉 언어체계가 자의성(恣意性)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어떤 대상에 대한 단편적 정보를 기표화하여 일반화시킴으로 그 대상의 총체적 의미는 기표화된 단편적 의미 뒤로 사라져버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실한 부분은 결여(缺如)에 대한 욕망을 자극하며 무의식으로 잔존(殘存)하게 된다. 따라서 실재인 작가 내면에 대한 작가의 의도를 생각하는 순간 그 생각 자체를 언어로 하기 때문에 결여가 발생하고, 작가는 설명할 수 없는 작품의 의미를 갖게 되고 그 결여를 욕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언어체계에 의해 결여되는 부분, 그리고 그것을 욕망하는 관계를 라캉의 ‘언어와 무의식 구조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였다. 그에게 예술작품은 예술가 자신의 개인적 산물인 동시에 사회적 산물이기도 하다. 그는 예술작품을 예술가의 무의식과 은유적 언어의 표현으로 간주함으로써 예술작품은 사회의 영향을 받으며 작품의 의미는 기표의 연쇄 속에서 의미의 고정점에 의해 일시적으로 포착되며 따라서 기표의 연쇄에 의해 불변하는 의미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는 예술가의 의도가 확정된 의미를 형성한다는 작품해석방식이 아닌 작품에 대한 다양한 의미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 논문은 연구자의 작품 〈Vielheit〉 연작을 중심으로 언어 이미지의 미학적 이론과 작품연구 분석에 목적이 있으며, 라캉의 ‘언어와 무의식의 구조’에 근거하여 시각예술작품이 어떠한 방식으로 개인과 자아 그리고 사회・타자와의 소통의 장(場)이 되며, 작품에 내포된 무의식적 욕망이 어떻게 해석되는지를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연구 작품에서 점자(點字) 이미지는 기표와 기의 결합의 자의성에 의해 탄생한 개인 언어이며, 읽혀지지만 읽혀지는 그대로의 뜻을 가진 것인 아닌 은유적인 언어 이미지로써 인간 내면의 무의식을 표출하고 다양한 의미해석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것은 라캉의 기표가 수많은 기의를 드러낼 수 있고 기표 스스로 의미를 형성한다는 언어이론과 상응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 논문은 시각적 기표로써 〈Vielheit〉 연작이 작가와 관람자, 주체와 타자의 소통 관계에서 다의적 성격을 갖게 되는 것에 주목하여 작품 제작과 다각적 논의를 전개해 나간다. 이러한 논의는 연구자 작품을 비롯하여 작가에 의해 고정되는 예술 작품이 아닌, 작품 스스로가 관람자에게 말을 하는 상황을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예술과미디어학회-
dc.title언어 이미지와 시각예술에 관한 연구 - 연구 작품 〈Vielheit〉 연작의 이미지의 형성과 의미를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a verbal image and visual arts - centering on the formation and significance of an image in the consecutive work of the research work〈Vielheit(multiplicity)〉--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은진-
dc.identifier.doi10.36726/cammp.2013.12.3.3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예술과 미디어, v.12, no.3, pp.31 - 54-
dc.relation.isPartOf예술과 미디어-
dc.citation.title예술과 미디어-
dc.citation.volume12-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31-
dc.citation.endPage54-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794090-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other-
dc.subject.keywordAuthor언어 이미지-
dc.subject.keywordAuthor기표-
dc.subject.keywordAuthor기의-
dc.subject.keywordAuthor은유-
dc.subject.keywordAuthor환유-
dc.subject.keywordAuthor무의식-
dc.subject.keywordAuthorVerbal image-
dc.subject.keywordAuthorSignifiant(Signifier)-
dc.subject.keywordAuthorSignifié(Signified)-
dc.subject.keywordAuthorMetaphor-
dc.subject.keywordAuthorMetonymy-
dc.subject.keywordAuthorUnconsciousnes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ogy > Major in Architecture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