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음색과 피부색, 홍채색의 상관관계를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완묵-
dc.contributor.author박연선-
dc.date.accessioned2021-11-25T04:41:37Z-
dc.date.available2021-11-25T04:41:37Z-
dc.date.created2021-11-23-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issn1226-6450-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85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퍼스널컬러 분석 시 환경의 영향을 덜 받고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는 또 다른 단서를 찾고자, 프라트 분석과 청취 분석을 하였다. 퍼스널컬러는 전문가를 동반하여 분석을 함께 하였고 봄 타입(sp) 8명, 여름타입(su) 5명, 가을타입(au) 7명, 겨울타입(wi) 7명으로 분석 되었다. 프라트 분석을 통해 피치는 겨울(wi)이 242.7Hz(±36.1), 여름(su)이 232.Hz(±71.4), 봄(sp)이 229.8Hz(±31.5),가을(au)이 210.2Hz(±41.2)순으로, 하모닉스는 여름(su)이 5.4dB(±0.4), 봄(sp)이 4.2dB(±0.8), 가을(au)이 3.9dB(±2.4), 겨울(wi)이 1.7dB(±4.3)순으로 나타나, 하모닉스 중 여름타입의 결과만 유의미하였다. 포먼트, 지터, 심머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청취분석은 국문학자들의 동의를 얻어서 의태어중 짜랑짜랑, 쩌렁쩌렁, 또랑또랑, 카랑카랑, 매끈매끈 을 선택하였다. 의태어중 ‘짜랑짜랑’ 은 봄(sp) 3.92와 가을(au)3.77로 웜 톤이 높았고, 겨울(wi) 2.73과 여름(su) 2.73이 낮았다. RAW 파일 분석결과 볼의 색은 따뜻한 순으로 가을(au) 4.6YR 6.6/4.5, 봄(sp) 4.3YR 6.9/4.4, 겨울(wi) 3.9YR 6.7/4.5, 여름(su) 3.4YR 6.8/4.8로 나타났다. 이마에서는 따뜻한 순으로 봄(sp) 5.2YR 6.8/4.2, 가을(au) 5.1YR 6.5/4.3, 겨울(wi) 4.5YR 6.7/4.3, 여름(su) 4.2YR 6.8/4.5 로 나타났다. 홍채는 따뜻한 순으로 가을(au) 5.1YR 1.7/2.5, 봄(SP) 5.0YR 1.7/3.1로 나타났고, 여름(su) 4.0YR 1.5/3.0 과 겨울(wi)이 4.0YR 1.7/3.6 으로 같은 색(4.0YR)이 나타났다. 특이사항은 신체색이 웜 톤인 피험자들의 수치가 Sp6(4.99), sp7(4.91), au3(5)로 짜랑짜랑한 음색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카랑카랑’은 겨울(wi) 3.13과 여름(su) 3.30, 봄(sp)2.12 과 가을(au)2.00보다 카랑카랑한 성분이 많아 찬 타입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또랑또랑’은 봄(sp)4.0, 겨울(wi) 3.99, 가을(au) 3.96, 여름(su) 3.80 순으로 나타나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매끈매끈’ 은 봄(sp) 4.20, 가을(au) 4.14, 겨울(wi) 3.88, 여름(su) 3.13으로 나타나 겨울과 여름보다 봄과 가을이 더 매끈한 것으로 나타났다. 말의 속도는 겨울(wi) 3.12, 봄(sp)과 여름(su)이 30.0, 가을(au) 2.71순으로 나타났다. 발음 정확도는 봄(sp) 4.61, 가을(au) 4.60, 겨울(wi) 4.35, 여름(su) 3.37 순으로, 여름이 발음정확도가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색채학회-
dc.title음색과 피부색, 홍채색의 상관관계를 통한 퍼스널 컬러 분석-
dc.title.alternativePersonal Color Analysis through Relation between Timber, Skin Tone and Iris Color-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연선-
dc.identifier.doi10.17289/jkscs.28.2.201405.1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색채학회논문집, v.28, no.2, pp.15 - 25-
dc.relation.isPartOf한국색채학회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색채학회논문집-
dc.citation.volume28-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15-
dc.citation.endPage25-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879024-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퍼스널컬러-
dc.subject.keywordAuthor음색-
dc.subject.keywordAuthor프라트 분석-
dc.subject.keywordAuthorRAW 파일 분석-
dc.subject.keywordAuthor의태어-
dc.subject.keywordAuthorPersonal Color-
dc.subject.keywordAuthorTimbre-
dc.subject.keywordAuthorPraat analysis-
dc.subject.keywordAuthorMimetic Word-
dc.subject.keywordAuthorRAW analysi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And Art > Communication Design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