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夾注名賢十抄詩』 夾注 연구 -新羅 한시를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21-12-02T05:42:25Z-
dc.date.available2021-12-02T05:42:25Z-
dc.date.created2021-11-29-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issn1228-128X-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19254-
dc.description.abstract『夾注名賢十抄詩』는 생몰년 미상의 儒者가 고려 초에 편찬한 시선집 『十抄詩』에 고려 말의 釋 子山이 주석을 붙인 책이다. 『십초시』와 『협주』는 10세기 무렵 동아시아의 서적 유통과 문화 수용의 양상을 대변하기에, 한중일에서 모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자료이다. 특히 이들 자료는 초기 한국 한시사의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한시의 학습과 활용 양상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십초시』에 수록된 시편의 내용은 물론이려니와 이를 해설한 『협주』의 ‘협주’를 보다 정밀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협주』의 성격을 해명하고, 협주의 내용에 따라서 신라 한시 작품을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협주』가 고려 초기까지 우리나라에 유전되었던 다양한 서적을 인용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며, 보다 궁극적으로는 신라 한시가 제작된 환경과 지향점을 보다 분명하게 인식하고 한시를 정확하게 읽을 수 있도록 주석을 달았을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협주』가 그 시대의 문풍이나 문학사적 배경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고 여긴 것이다. 협주는 인명이나 지명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변증을 하기도 한다. 특히 빈공제자의 한시는 在唐 시절의 작품이므로, 시의 배경을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 이러한 협주 방침을 정한 것으로 여겨진다. 무엇보다도 협주는 시의 주제와 문맥을 고려한 것으로 판단된다. 모든 시구에 기계적으로 협주를 붙이는 것이 아니라 시의 내용을 파악하여 문맥의 의미와 주제가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협주를 통해 신라 한시를 읽으면, 그 의미가 보다 잘 드러날 뿐만 아니라, 새롭게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협주는 특이한 전거를 들고 있는 경우가 있다. 『神仙本紀』와 같은 일실 서적을 인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는 단순히 일문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이후 우리나라 한시 작품의 시어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 가치가 매우 높다. 예를 들면 ‘甲枝郞’ 고사는 중국 측 자료에서는 전혀 확인되지 않지만, 우리나라의 한시 작품에 종종 이 시어가 등장한다. 지금껏 이처럼 우리나라 한시 작품의 시어 가운데 전거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도 설명할 길이 없었는데, ‘갑지랑’ 고사의 예를 미루어 중국에서 일실되었으나 우리나라에 전해져 유통되었던 전적을 바탕으로 독자적 시어가 정착하였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한문학회-
dc.title『夾注名賢十抄詩』 夾注 연구 -新羅 한시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annotations of 『HyubjooMyunghyunShibChoSi(夾注名賢十抄詩)』 - focused on Shilla(新羅) poems-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은정-
dc.identifier.doi10.30527/klcc..50.201212.00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한문학연구, no.50, pp.243 - 272-
dc.relation.isPartOf한국한문학연구-
dc.citation.title한국한문학연구-
dc.citation.number50-
dc.citation.startPage243-
dc.citation.endPage272-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722435-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夾注名賢十抄詩』-
dc.subject.keywordAuthor夾注-
dc.subject.keywordAuthor고유명사-
dc.subject.keywordAuthor고증과 변증-
dc.subject.keywordAuthor주제 제시-
dc.subject.keywordAuthor문맥의 구체화-
dc.subject.keywordAuthor특이한 典據-
dc.subject.keywordAuthor독자적 시어-
dc.subject.keywordAuthor『HyubjooMyunghyunShibChoSi(夾注名賢十抄詩)』-
dc.subject.keywordAuthorannotation-
dc.subject.keywordAuthorproper noun-
dc.subject.keywordAuthorbackground research-
dc.subject.keywordAuthordemonstration-
dc.subject.keywordAuthortheme-
dc.subject.keywordAuthorcontext-
dc.subject.keywordAuthorunique authority-
dc.subject.keywordAuthorunique poetic dic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And Art > Design & Visual Art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Eun Jeong photo

Kim, Eun Jeong
Design & Visual Arts (Design & Visual Art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