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치매 환자의 생활기능 보조제품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사례 분석에 근거한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현지-
dc.contributor.author김후성-
dc.date.available2020-07-10T04:02:43Z-
dc.date.created2020-07-06-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issn1598-6497-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104-
dc.description.abstract범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성질환인 치매를 겪는 환자 역시 늘고 있다. 고령화가빠르게 진행되며, 그 증가 폭이 매우 크기 때문에 대응책으로써 로슈(Roche, 스위스), 바이오젠(Biozen, 미국), 에자이(Ezai, 일본)등의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치매 치료제가 개발되며 세계적으로 동시에 임상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또한 치매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질병 치료적, 예방적, 혹은 저하된 인지기능이나 신체기능을 보조할 수 있는 제품도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치매 환자를 위한 생활 보조 기기가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곧 환자의 자율적인 생활을 돕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치매에 대한 치료 방안으로 병원과 입원, 약물적 치료를 떠올리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사실은치매를 앓으면서도, 보존되는 기능이 단계별로 존재하며 그것을 이용하여 자주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 병의진행을 막는 등의 더욱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바 있다.1) 이러한 비약물 치료로서의 치매 환자의 일상 생활영위를 위한 보조제품을 개발하는 데에 있어서 치매환자의 단계 별 증상에 따른 유니버셜 디자인 관점에서 제품 디자인의 구체적 목표와 요소 등 표준화된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있다면, 전 세계적으로 임상참여 환자의 증상 변화를 관찰 하는 데에 보다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립 정리할 수 있을 것이고 또한 생활 보조 제품의 효율성을 보다 구체화된 정량적인 데이터로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치매 환자의생활을 보조하는 제품을 개발하는 것에 대한 통합된방법론으로써의 구체화된 디자인 방향이 확립되지 않아서 향후 새로운 보조 제품이 구상 및 개발될 때에기준이 될 만한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의 생활을 보조하는 제품군을, 보편적 사용성을 가진 디자인 원칙인유니버설 디자인과, 여러 선진 사례에 근거한 치매용제품 개발 사례를 근거하여 ‘안전 관리’, ‘신체 기능보조’, ‘인지 기능 보조’, ‘정서 관리’의 카테고리 별로분석하고, 각 유형 별로 나타나는 디자인 요소의 빈도를 통하여 기능성과 유효성을 도출 하였다. 이를 통해각 카테고리 별 가장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기능의요소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카테고리 별로 어떠한 기능적 속성이 포함되어야 가장 효용성이 높을지에 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한 결과로서, ‘안전 관리’ 카테고리에서는 환자가 처한 상황과 상태를 잘 감독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어야 하고, ‘신체 기능 보조’의 영역에서는 환자의 자율적인 활동과 생활을 보장하는것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며, ‘인지 기능 보조’ 카테고리에서는 제품에서 전달되는 정보가 환자에게효과적으로 식별 가능해야 한다는 점이 주요 디자인요소가 되어야 하고 ‘정서 관리’ 용도의 제품에서는환자의 불안, 분노 등의 부정적 감정을 잠재우기 위해, 후각, 청각 등의 환자의 여러 신체 감각을 사용하여 활동에 집중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주안점을 발견 하였다. 이를 근거로 치매 환자의 생활을보조하는 제품이 개발될 때에 참고할 수 있을 디자인가이드라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디자인문화학회-
dc.title치매 환자의 생활기능 보조제품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사례 분석에 근거한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Study on Assistive Product Design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Dementia -Centered on Categories Based on Case Studies--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후성-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5, no.4, pp.379 - 389-
dc.relation.isPartOf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itation.title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itation.volume25-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379-
dc.citation.endPage389-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539706-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Dementia(치매)-
dc.subject.keywordAuthorAssist on Everyday Life(생활 보조)-
dc.subject.keywordAuthorAssistive Product Design(보조적 제품 디자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International Desing for Advanced Studies > Smart Design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