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문화학의 지형학적 전환: 지구화와 지역화의 이론적 콘셉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희-
dc.date.accessioned2021-12-17T02:43:17Z-
dc.date.available2021-12-17T02:43:17Z-
dc.date.created2021-12-16-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issn1229-1560-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1088-
dc.description.abstract포스트모더니즘은 하나의 양식 개념으로 이해됨과 동시에 모더니즘에 대한 문제를 표출하는 변화된 태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시간적 순차성 보다는 오히려 사고의틀, 사고 방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매체를 통한 시공간 구조의 변화는 비동시적인 것을 동시적으로 만드는 경향을 증대시켰다. 과거로부터의시간적 변화양상보다 현재와 미래의 동시성을 추구하게 되면서 현재의 패러다임이부상하게 되었고, 이는 바로 공간의 중요성과 연결되었다. 즉 시간의 패러다임이 공간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된 것이다. 이같은 현상을 철학적으로 살펴보면, 객관적 진실에 대한 회의가 생겨나면서 경계짓기와 구별하기, 결정하기보다는 어떤 방식으로 결정을 하는가 하는 과정을 중시하는 방법론으로 관심의 축이 옮겨갔다. 동시에 세계의 지형을 바라보는 지구화와 지역화의 문제를 바라보는 방식 자체가 중요 연구대상으로 떠올랐다. 사실 공간의 의미에 관한 연구는 오랜 역사를 지닌다. 경제분야에서 떠오른 지구화가 문화적개념으로 확장되면서 문화 자체는 뵈메에 따르면 이미 공간화하는 행위가 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보면 문화학이 자기와 타자를 비교, 구별, 혼합, 성찰하는 학문이 됨으로써 학문 그 자체도 문화현상이 되었다. 비교하는 과정은 한편으로 차이를 다루는 것이며 이차적 관찰을 경험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다름 아닌 인식의 과정이고어떤 것을 인식하게 됨으로써 그와 다른 것을 인식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여기에서제 3의 사이공간이 탄생하게 된다. 이 사이공간은 네트워크의 구조와 유사하게 기능하는데, 이는 지구지역화, 혼종화, 혼합화를 그 특징으로 한다. 선형성, 인과성, 조직성, 통합, 동일성보다는 우연, 탈피, 창발, 부분, 자기생성이 그 주요 키워드이며특히 자기와 타자의 관계설정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지구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문학에 형상화한 예로서 후버르트피히테의 작품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마로코의 여행체험을 쓴 작품으로서 시장의 여러 광경을 다큐멘터리처럼 묘사하였다. 순간적 영상, 프로토콜, 리포타쥬 형식으로구성되어 논리적 줄거리를 거부하고 다양한 사실들을 나열하고 차이들을 유희적으로 형상화하고, 특히 아랍문화의 낯설음 자체에 대하여 제 3자가 관찰하는 거리두기의 방법을 취하면서도 작품 자체에는 서술이나, 해석, 느낌을 배제함으로써 삶의경험성, 인종학적 묘사를 부각시켰다. 이 소설의 형성원칙은 위계질서를 파괴하는것이며 낯선 것에 대한 차분한 경험을 표출하는 것이다. 주인공의 영웅적 위상을 지양하고 내용과 형식을 끊임없이 변화시키고 통속화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로 인해근대의 아포리로부터의 탈출을 추구하였다. 지구화에 대한 문화적 분석과 사유방식으로서의 고찰은 주도적인 경제적 흐름과병행되어야 하며 이같은 추구가 바로 문화학에 있어서도 차이를 강조하는 네트워크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문화와 문화학에 대한 자가성찰은 에른스트 카시러에 따르면 존재의 질서에서 관계의 질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dc.language독일어-
dc.language.isode-
dc.publisher한국독일어문학회-
dc.title문화학의 지형학적 전환: 지구화와 지역화의 이론적 콘셉-
dc.title.alternative‚Topographical turn‘ in der Kulturwissenschaft: Theoretische Konzepte von Globalisierung vs. Lokalisierung-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경희-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독일어문학, v.18, no.4, pp.27 - 42-
dc.relation.isPartOf독일어문학-
dc.citation.title독일어문학-
dc.citation.volume18-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27-
dc.citation.endPage42-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514921-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포스트모더니즘-
dc.subject.keywordAuthor지형학적 전환-
dc.subject.keywordAuthor지구화-
dc.subject.keywordAuthor지역화-
dc.subject.keywordAuthor후버르트 피히테-
dc.subject.keywordAuthorSchlüsselbegriffe: Postmoderne-
dc.subject.keywordAuthorTopographical Turn-
dc.subject.keywordAuthorGlobalizierung-
dc.subject.keywordAuthorLokalisierung-
dc.subject.keywordAuthorHubert Fichte-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iberal Arts > Department of Germ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Kyung Hee photo

Kim, Kyung Hee
Liberal Arts (Germ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