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인 남·여 30~50대의 한글자모 연상색채 이미지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현선-
dc.contributor.author박연선-
dc.date.accessioned2021-12-17T02:44:41Z-
dc.date.available2021-12-17T02:44:41Z-
dc.date.created2021-12-16-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issn1226-6450-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12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색채를 정상적으로 인지하는 한국인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한글 자음 체계와 색상을 연관시키는 ‘자음과 색상’이 어떻게 연상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은 국어의 음운 체계, 자음체계와 모음체계 중에서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를 대상으로 하여 각 자모를 제시하고 연상되는 색상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여기에 사용되는 색상팔레트 구성을 위하여 (주)종이나라에서 제작 판매하고 있는 <Hue & Tone120 >중 선명한 색조(Vivid tone)에 해당하는 10색상과 무채색(Neutral tone) 하양(White), 회색(Neutral 5), 검정(Black) 3색상 총 13색상을 선택하여 색상팔레트를 활용하였으며, 설문조사 참여자 인원149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자모에서 연상되는 색상을 남·여 30대에서 50대 연령별 특성에 따른 변화를 조사했다. 14개의 자음을 제시하고 13개의 색상을 제시하여 선택하게 하였고, 그 제시된 색상 중에 연상되는 색상이 없는 경우는 직접 구체적으로 기입하도록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음과 색상’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자음과 색상’을 연상시키는데 특정 경향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149명 남·여 30대에서 50대 결과분석에서 적어도 50%이상 모두 ‘자음과 색상’과 연상색채의 색채 분포도가 나타났다. 설문조사 남·여 30대에서 50대 연령층에서 ‘자음과 연상되는 색상’을 살펴보면 연상색상에서 한글자모 ‘ㄴ’의 ‘노랑 (Y) ’이 모두 첫 번째 순위로 나타냈으며 성인남자 30대 57%. 40대 47%, 50대 42% 와 성인여자 30대 63%, 40대 41%, 50대 42% 로 다른 색상에 비해 높은 분포도를 차지했다. 남·여 연령별 모두가'ㄴ'의'노랑'에서'Y'로 한글자모와 색상을 연상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순위로는 남자 30대에서는 ‘ㅂ’의 ‘보라 (P)'가 46%, 40대는 ‘ㅎ’의 ‘하양(White)'로 32%, 50대는 ‘ㅋ’의 ‘빨강(R)'과'ㅍ’의 ‘파랑, 남색(PB)'가 32%로 나타냈다. 여자 30대는'ㅊ’의 ‘청록(BG)'가 38%, 40대는'ㅍ’의 ‘파랑, 남색(PB)'로 29%, 50대는'ㅅ’의 ‘빨강(R)','청록(BG)'로 모두 33% 동일하게 연상되었다. 이렇게 나타낸 분포도들을 종합해 보면 한글자모로부터 색상을 연상시키는데 특정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색채학회-
dc.title한국인 남·여 30~50대의 한글자모 연상색채 이미지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Color Image in Association with Korean Alphabet of Korean People in their 30s~50s-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현선-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연선-
dc.identifier.doi10.17289/jkscs.24.3.201008.11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색채학회논문집, v.24, no.3, pp.113 - 123-
dc.relation.isPartOf한국색채학회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색채학회논문집-
dc.citation.volume24-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113-
dc.citation.endPage123-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1470495-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Associated color-
dc.subject.keywordAuthorletter-color synthesia-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Standard Color Name-
dc.subject.keywordAuthorbasic color names-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character-
dc.subject.keywordAuthorLanguage-
dc.subject.keywordAuthor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A 0011-
dc.subject.keywordAuthor연상색채-
dc.subject.keywordAuthor글자-색채 공감각-
dc.subject.keywordAuthor한국 표준 색이름-
dc.subject.keywordAuthor기본색 이름-
dc.subject.keywordAuthor한글자모-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 And Art > Communication Design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