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명제논리 기반 서울시 역세권 2030청년주택 운영기준의 개정효과 분석A Spatial Analysis Based on the Amendments in Seoul's 2030 Youth Housing Policy Using Propositional Logic

Other Titles
A Spatial Analysis Based on the Amendments in Seoul's 2030 Youth Housing Policy Using Propositional Logic
Authors
김성훈조현준최내영한대정박민호
Issue Date
2019
Keywords
역세권 2030청년주택; 명제논리; 민간임대주택; 용도지역 변경; 지리정보시스템; Seoul’s 2030 Youth-Housing; Propositional Logic; Private Rental Housing; Up-zoning; GIS
Citation
지적과 국토정보, v.49, no.1, pp.157 - 179
Journal Title
지적과 국토정보
Volume
49
Number
1
Start Page
157
End Page
17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459
DOI
10.22640/lxsiri.2019.49.1.157
ISSN
2508-3384
Abstract
역세권 2030청년주택 정책은 역세권 개발이 서울시 내 임대주택 택지를 확보하기 위한 유일한 대안이라는 인식 가운데 기대를 받으며 출범했다. 그러나 임대주택 공급실적은 당초 계획에 미치지 못했고 용도지역체계에 혼란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결국, 역세권 2030청년주택은 시행 후 3년 사이에 운영기준이 6차례 개정되었다. 특히 2018년 10월 이후에는 1년 이내에 큰 폭의 운영기준 개정이 두 차례 이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사업가능구역과 용도지역 변경 가능구역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지난 운영기준 개정의 방향성 평가와 정책적 시사성을 도출하고자 했다. 공간적 범위 및 구역의 도출에는 명제논리를 활용했다. 이를 위해, 가구(街區) 등 기초자료 정제 및 전처리, 명제별 진리 값 입력, 논리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사업가능구역 및 용도지역 변경 가능구역 소속여부를 판별했다. 분석 결과, 1) 사업가능구역은 서울시 외곽의 역세권으로 고르게 분산되면서도 준주거 지역과 상업지역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고, 2) 용도지역 변경 가능구역은 준주거지역 변경 가능구역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증가추세가 두드러졌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chitecture > Urban Engineering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