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예 교육을 통한 현대 공예 문화의 대중화 방안 연구 -해외 공예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혜영-
dc.contributor.author나건-
dc.date.available2020-07-10T04:10:54Z-
dc.date.created2020-07-06-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issn1598-6497-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47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급변하는 시대 환경에서 공예 분야의 저변확대와 공예 문화 대중화를 위하여 공예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공예 가치의 현대적 속성을 살펴보고 해외 공예 교육 사례를 분석하여 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자료를 토대로 공에 교육의 현황, 공예 문화와 대중문화의 의미를 파악하고시대 흐름을 반영한 트렌드를 살펴보았다. 이론 연구를 통해 공예 교육의 대상, 현대적 공예 가치, 대중화를 위한 공예 문화의 수단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먼저 국내외 공예 교육 현황과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기초 교육부터 포괄적인 창조활동까지 영향을 미치는공예 교육은 어린이, 전공자, 일반 대중 등 전 세대를걸쳐 폭 넓게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미국공예문화진흥원, 한국공예문화진흥원, 영국공예청에서 공통적으로 내포하는 공예의 현대적 가치를 토대로 공예 가치를 ‘보편성, 교육성, 행동성, 전통성, 접근성, 전문성, 심오성’으로 추출하여 7가지 속성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중문화와 대중매체 트렌드를 통해 공예 문화 대중화를 위한 수단적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한국의 공예 교육 현황은 획일화된 전문인력 양성에 미치고 있어 미국이나 유럽 등 공예 교육이 활성화 되고 있는 국가 가운데 의도적 선택(Purposeful Selection)’ 방법으로 사례를 선정하여 공예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각 국가별 프로그램은 교육 방법, 대상, 기간, 내용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론연구에서 도출된 가치 속성과 대조하여 종합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켄 로빈슨의 교육 분류 방식을 적용하여학습, 교육, 훈련으로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각 국가별 진행하는 공예 교육 프로그램은 문화적 특성과 교육 내용에 따라 방식의 차이는 있었으나, 일정한 기간동안 전문가와 장인, 학생 및 일반인이 직접 참여하여학습, 교육, 훈련의 순환적구조로 단계별 교육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현대 공예 교육의 방향성은 공예가치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과 역량을 습득하는 학습, 대상과 목적에 맞는 체계적인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변화하는 기술을 이해하고 습득에 초점을 맞추는 훈련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대중문화의 흐름을 통해 살펴본 공예 문화의 대중화 방안을 크게 4가지 관점인 개방형 글로벌 네트워크 커뮤니티, 단계별 대중 참여 프로그램 확대, 생애 주기별창의 마인드 교육, 개인별 맞춤 공예 기술 지원을 토대로 지속적인 공예 교육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공예 교육의 방향성이 대표적 국가의 일부 사례로 한정되어 진행된 점은 아쉬운점으로 사료되며, 추후 연구를 통해 보다 많은 국내외사례를 분석하여 공예 문화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는연구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디자인문화학회-
dc.title공예 교육을 통한 현대 공예 문화의 대중화 방안 연구 -해외 공예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Democratization of Contemporary Craft Culture through Craft Education -Focusing on the Cases of Overseas Craft Education--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나건-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25, no.2, pp.263 - 278-
dc.relation.isPartOf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itation.title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itation.volume25-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263-
dc.citation.endPage278-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477401-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Democratization of Craft(공예 대중화)-
dc.subject.keywordAuthorCraft Culture(공예문화)-
dc.subject.keywordAuthorCraft Education(공예 교육)-
dc.subject.keywordAuthorContemporary Craft(현대 공예)-
dc.subject.keywordAuthorMass Culture(대중문화)-
dc.subject.keywordAuthorCraft Value(공예 가치)-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International Desing for Advanced Studies > Design Management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Nah, Ken photo

Nah, Ken
International Desing for Advanced Studies (Major in Design Manage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