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감 표시 인터랙션과 사용자의 감정 리액션 유형의 차이가 정서적 유대감과 공동의 공간감에 미치는 영향 - 라이브 스트리밍을 중심으로 -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지-
dc.contributor.author이연준-
dc.date.accessioned2022-06-15T07:40:35Z-
dc.date.available2022-06-15T07:40:35Z-
dc.date.created2022-06-15-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sn2233-92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28573-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디지털 시대로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소통하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으로 라이브 스트리밍이 떠오르고 있다. 라이브 스트리밍 환경의 구성 요소인 공감표시 인터랙션과 사용자 감정리액션은 사용자의 소통방식과 관계형성에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의 이용률이 더욱 급증하고 있는 현재, 라이브 스트리밍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라이브 스트리밍에서 공감표시 인터랙션 유형과 사용자 감정리액션 유형이 개인적 특성과 라이브 방송의 방송자인 연예인에 대한 호감도에 따라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에 나타나는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와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에서는 라이브 스트리밍의 현황과 특성에 대해 정리하였고, 현재 이용되어지고 있는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네 가지 사례를 분석하고 공감과 관련한 상호작용 유형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제작한 실험물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인터랙션과 사용자 감정리액션의 유형은 유형별로 사용자들의 정서적 유대감과 공동의 공간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개인적 성향인 자기표현성향과 자기노출이 높으면 높게, 낮으면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공감표시 인터랙션 유형 중 숫자 유형에서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하는 연예인에 대한 호감도에 따라서도 사용자들이 느끼는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이 높거나 낮았다. 결론 본 연구는 온라인 라이브 스트리밍의 이용률이 급증한 현재, 라이브 스트리밍의 구성 요소인 인터랙션과 사용자 감정리액션 방식의 방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는 온라인에서 대인 간 정서적 유대감과 공동의 공간감을 높여주는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효과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란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dc.title공감 표시 인터랙션과 사용자의 감정 리액션 유형의 차이가 정서적 유대감과 공동의 공간감에 미치는 영향 - 라이브 스트리밍을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the Difference Between Empathy Expression Interaction and User's Emotional Reaction Type on the Emotional Connectedness and Awareness of Co-location - Focus on Live Streaming --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연준-
dc.identifier.doi10.21326/ksdt.2022.27.2.00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디자인포럼, v.27, no.2, pp.75 - 88-
dc.relation.isPartOf한국디자인포럼-
dc.citation.title한국디자인포럼-
dc.citation.volume27-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75-
dc.citation.endPage88-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841550-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라이브 스트리밍-
dc.subject.keywordAuthor인터랙션-
dc.subject.keywordAuthor정서적 유대감과 공동의 공간감-
dc.subject.keywordAuthorLive Streaming-
dc.subject.keywordAuthorInteraction-
dc.subject.keywordAuthorEmotional Connectedness and Awareness of Co-loca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Fine Arts > Visual Communication Design Major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Youn joon photo

Lee, Youn joon
Fine Art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