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신(新)고령자와 전통 고령자의 주방가전 제품 평가 요인 비교 연구A Comparative Study on the Evaluation Factors of Kitchen Appliances between the New Elderly and Other Elderly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Evaluation Factors of Kitchen Appliances between the New Elderly and Other Elderly
Authors
황아용차강희
Issue Date
Jun-2023
Publisher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Keywords
New Elderly; Other Elderly; Kitchen Appliances; Evaluation Factors; 신 고령자; 전통 고령자; 주방가전 제품; 평가 요인
Citation
산업디자인학연구, v.17, no.2, pp.47 - 58
Journal Title
산업디자인학연구
Volume
17
Number
2
Start Page
47
End Page
5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419
ISSN
1976-8745
Abstract
연구배경 고령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고령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것이 각계의 관심사가 되었다. 고령자의 일상생활에서 주방가전 제품은 고령자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런 가운데 고령자 집단의 복잡성으로 인해 일관된 기준으로 연구를 수행하기 어렵다. 그중에서 신 고령자는 그 특성이 더욱 뚜렷하므로 전통 고령자와 구분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주방가전 제품의 범위를 규정하였다. 둘째, 주방가전 제품의 평가 요인을 추출한다. 셋째, 독립표본 T 검증을 통해 신 고령자와 전통 고령자가 각각 주방가전 제품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를 통해 주방가전 제품에 대한 신 고령자와 전통 고령자의 평가기준이 확실히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 체험적 요인 면에서는 편리성과 조작성에서 차이가 있다. 제품 기능적 요인 면에서는 상호작용, 다용도성 및 내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감성적 요인 중에서는 고급감, 독창성, 조형성, 심미성에서 차이가 있다. 결론 평가기준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주방가전에 대해 신 고령자는 인터렉션, 다용도성, 고급감, 독창성, 조형성, 심미성을 높게 평가했다. 한편 전통 고령자는 편리성, 조작성, 내구성을 높게 평가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Industrial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a, Kang Heui photo

Cha, Kang Heui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Industrial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