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건강 거리를 위한 도시 보행환경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가지우-
dc.contributor.author이현성-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date.accessioned2023-07-03T08:51:13Z-
dc.date.available2023-07-03T08:51:13Z-
dc.date.issued2023-06-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451-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전 세계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접어들면서 실제로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준 가장 큰 경고는 건강의 중요성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 보행환경은 주민들의 일상적인 활동을 담는 장소로서 건강 증진 기능을 합리적으로 발휘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 보행 공간은 불편하거나 활기 부족 등의 문제가 있어 건강을 지향한 보행환경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행환경을 개선하여 시민들에게 쾌적한 출행 체험과 교류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생활을 유도하는 데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건강 거리는 사람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디자인 수단으로, 일상생활에서 활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연구목적은 건강 거리 이념을 기반으로 하여 보행환경 평가요소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보행환경 평가지표, 보행환경 평가모델, 도시 건강 거리 가이드라인 등의 수립을 위한 의미 있는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먼저 CNKI와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인용 빈도, 발표 시기 및 저널의 영향 인자를 고려하여 56편의 문헌을 선정해 이를 분석하여 도시 보행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영국과 호주의 디자이너 건강 거리 점검 2개의 평가지표를 선정한다. 비교 분석을 통한 평가지표를 요약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요소와 평가지표의 객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AHP 계층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건강 거리 이념에 기반한 보행환경 평가요소 체계를 구축한다. (결과) 종합 분석을 통해 생리적 건강에서 안전 보증이 가중치 할당에서 0.373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신체 활동 촉진 가중치는 0.355, 질병 감소는 0.272로 나타났다. 심리적 건강에서는 즐겁게 체험으로 얻은 가중치가 0.529로 가장 높았고 정서 회복이 0.294, 안정감 강화 0.177로 뒤를 이었다. 사회적 건강에서 사회 참여 촉진의 최대 가중치는 0.560이고 사회적 포용의 가중치는 0.440으로 보행환경에서 사회적 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사회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보행환경의 핵심 요소가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과 차이를 파악하고, 고품질의 도시 보행환경 조성을 통해 사람들의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평가요소는 건강 거리 구축, 보도의 보완 및 건설, 도시 보행환경의 건강 수준 향상, 보행자의 건강과 행복 증진에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보행환경 평가지표, 보행환경 평가모델, 도시 건강 거리 가이드라인 등의 수립을 위한 의미 있는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dc.format.extent12-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건강 거리를 위한 도시 보행환경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Research on the Evaluation Factors of Urban Walking Environment for Healthy Streets-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35216/kisd.2023.18.4.37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8, no.4, pp 371 - 382-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8-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371-
dc.citation.endPage382-
dc.identifier.kciidART00297334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Healthy Streets-
dc.subject.keywordAuthorHealthy Streets Approach-
dc.subject.keywordAuthorWalking Environment-
dc.subject.keywordAuthorEvaluation Factor-
dc.subject.keywordAuthorAHP Analysis-
dc.subject.keywordAuthor건강 거리-
dc.subject.keywordAuthor건강 거리 실행-
dc.subject.keywordAuthor보행환경-
dc.subject.keywordAuthor평가요소-
dc.subject.keywordAuthorAHP 분석-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공공디자인전공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Hyunsung photo

Lee, Hyunsung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Major in Public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