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내 공간정보 데이터의 활용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훈-
dc.contributor.author이현성-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date.accessioned2023-11-03T10:40:59Z-
dc.date.available2023-11-03T10:40:59Z-
dc.date.issued2023-10-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835-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2000년대 초중반부터 창조성이 새로운 성장 동력이라는 인식 아래 정부는 디자인의 가치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최근에 OPENAI 등을 포함하여 대용량 데이터 및 공간분석 머신이 출현하고 적극적으로 상용화하고 있는 가운데 데이터의 시각화 또한 급정상하며, 많은 분야에서 데이터에 대한 공급과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 데이터의 약 80%는 공간정보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코로나 19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경제와 사회 전반의 디지털 대전환을 위해서 범부처‘국가 혁신프로젝트’로‘디지털 뉴딜’을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기업 경쟁력과 국민의 삶의 질이 개선되고 있는 가운데 공공디자인의 핵심적인 계획인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에서 데이터의 80% 이상 차지하는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데이터의 활용 현황, 데이터 분석, 활용 결과 및 경향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 결과로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을 위해 구축되어야 할 기반과 여건을 제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전국에서 공공디자인을 가장 많이 수립하는 지자체, 가장 최근에 수립한 지자체 등 다양한 지역이 있지만, 공공디자인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전담조직인 디자인총괄본부를 대한민국 최초로 설립하고. 도시디자인, 공공디자인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주도적으로 전담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공공디자인 사업들을 추진한 서울시의 각 자치구 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공공디자인의 핵심 계획인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을 중심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먼저, 진흥계획에서 활용한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등 전략과 사업 도출, 제도의 타당성을 마련하고 논리적으로 객관화하는 기초조사에 해당하는 범위에서 사진 등 공간정보가 아닌 데이터들을 제외하고, GIS 데이터와 맵핑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한다. 그다음, 추출된 두 타입의 데이터들을 진흥계획의 기초조사에 활용되는 인문 환경, 문화 환경, 행정적 환경 등 5가지 유형에 맞게 분류하여 서울시 내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을 수립한 자치구들의 발주부서 특징을 파악한 뒤, 데이터 기반의 클러스터, 데이터 활용의 경향, 활용 빈도 등을 분석한다. (결과) 서울시의 각 자치구에서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에 사용된 공간정보 즉, GIS 및 맵핑 데이터는 유형이 유사하나 GIS 데이터에 대해 클러스터링 된 3개의 그룹에서 활용 정도는 명확히 다르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데이터 분석은 해설 형식으로 제공되거나 분석 과정과 표준이 생략되고 미흡하여, 데이터의 객관화와 정확한 데이터 구축의 필요성을 발견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GIS 데이터 활용이 용역사의 능력과 발주 부서의 요구에 따라 다르고, 대부분의 자치구가 공공데이터 플랫폼에 의존적임을 확인했다. 즉,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을 추진하는 용역사는 공공디자인 데이터 구축을 여러 방면의 한계로 인해 직접 구축 및 활용이 불가능했고, 이로 인해 천편일률적인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공공디자인만의 데이터 구축은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정체성과 가능성을 갖기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할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핵심 기초 중 하나라 하겠다.-
dc.format.extent12-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공공디자인 진흥계획 내 공간정보 데이터의 활용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Reaserch on GIS and Spatial Data Utilization in Public Design Promotion Plans-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35216/kisd.2023.18.7.60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8, no.7, pp 601 - 612-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8-
dc.citation.number7-
dc.citation.startPage601-
dc.citation.endPage612-
dc.identifier.kciidART003010950-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공공디자인-
dc.subject.keywordAuthor진흥계획-
dc.subject.keywordAuthor공공데이터-
dc.subject.keywordAuthorGIS-
dc.subject.keywordAuthor공간정보-
dc.subject.keywordAuthorPublic Design-
dc.subject.keywordAuthorPromotion Plan-
dc.subject.keywordAuthorPublic Data-
dc.subject.keywordAuthorGIS-
dc.subject.keywordAuthorGeospatial informa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공공디자인전공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Hyunsung photo

Lee, Hyunsung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Major in Public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