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리질리언스 관점의 바이오필릭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심윤서-
dc.contributor.author이현성-
dc.date.accessioned2023-12-11T07:06:45Z-
dc.date.available2023-12-11T07:06:45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973-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자원은 현대사회에 들어서 자원의 고갈과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자원의 대체, 순환적 기능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해결책이 강구되고 있는데, 단편적인 도시 회복 기능 향상 보다 다방면의 이해관계로서 도시에서 직접적으로 체감하고 있는 사람에 대한 인과관계를 고려한 회복탄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사회적으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회복 기능의 공간을 도시와 공공의 관점에서 마련되어 리질리언스의 체감력을 높이도록 공공공간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적용도를 향상하는 기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의 자연 요소적 특징을 통해 회복 기능과 동시에 리질리언스 유도 효과로서 상호작용을 확인하여 도시의 취약성을 저감하고 전환능력을 높이는 공공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흐름은 첫 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리질리언스 관점을‘회복 환경’으로서 정립하고, 바이오필릭 공공공간과 리질리언스 관점의 상호작용을 사례 분석의 기준으로서 마련하였다. 둘째, 사례 연구를 통해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공공공간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을 분류하였으며, 환경심리학 이론을 근거로 상호작용하여 발생되는 시점에서 작용하는 요소들을 리질리언스 도시 프레임워크로서 분류하여 관계를 검증한다. 이를 통하여 공공공간을 통한 도시와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주고받으며 도시의 리질리언스를 촉발시키고 또 지속가능한 회복 기능을 유지 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 (결과) 도시의 취약성을 진단하여 바이오필릭 접목을 통해 전환능력을 갖춘 공공공간의 사례를 통하여 리질리언스 기능으로 작용하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을 추출하였으며 리질리언스 도시 작용 평가를 통해 종합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 중 직접적 체험과 간접적 체험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각적 요인들이 단편적인 경관적 측면보다 지속적으로 사람의 행태를 유도하는 회복 기능 요소로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도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바이오필릭 공공공간은 리질리언스 기능이 무형적, 유형적 형태로 작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바이오필릭 디자인과 공공공간의 리질리언스 상호작용을 통해 도시공간구조의 기조로서 리질리언스 기능이 무형적, 유형적 형태로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여 도시 내 공간의 규모와 형태에 따라 리질리언스 작용 기능을 도출하고, 각 공공공간이 도시의 적재적소에 마련될 수 있도록 도시 취약성에 의한 리질리언스 공공공간의 역할과 디자인에 대한 구체적 검증함에 따라 리질리언스의 접근성과 체감도를 향상하는 바이오필릭 공공공간의 디자인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dc.format.extent16-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리질리언스 관점의 바이오필릭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Biophilic Public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Resilience-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7, no.4, pp 321 - 336-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7-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321-
dc.citation.endPage336-
dc.identifier.kciidART002853696-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Resilience-
dc.subject.keywordAuthorBiophilic-
dc.subject.keywordAuthorRecovery Environment-
dc.subject.keywordAuthorPublic Space-
dc.subject.keywordAuthorPublic Design-
dc.subject.keywordAuthor리질리언스(Resilience-
dc.subject.keywordAuthor회복탄력성)-
dc.subject.keywordAuthor바이오필릭(Biophilic)-
dc.subject.keywordAuthor회복 환경-
dc.subject.keywordAuthor공공공간-
dc.subject.keywordAuthor공공디자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공공디자인전공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Hyunsung photo

Lee, Hyunsung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Major in Public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