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K-컬처 콘텐츠의 전략 자산화 제안A Proposal for Strategic Assetization of K-Culture Content to Enhance the National Brand Image

Other Titles
A Proposal for Strategic Assetization of K-Culture Content to Enhance the National Brand Image
Authors
오지연이도훈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eywords
National brand image; K-culture content; Strategic assetization; Soft power; Halo effect; 국가 브랜드 이미지; K-컬처 콘텐츠; 전략 자산화; 소프트 파워; 후광 효과
Citation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no.70, pp 285 - 299
Pages
15
Journal Title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Number
70
Start Page
285
End Page
29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1998
ISSN
2765-1568
Abstract
한국 고유의 문화는 경제력의 상승, 세계화와 함께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중요한 자원으로써 홍익인간으로부터 시작되어왔다. 최근에는 한국문화의 K-POP, K-Movie, K-Drama, K-Food 등으로 한국의 문화 콘텐츠 사업이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게 됨으로써 한국문화의 발전에 더 큰 힘을 쏟아야 하는 게 현실이다. 이는 곧 국가 브랜드 활성화로 이어져 한국의 이미지를 한층 더 끌어올릴 수 있는 큰 도약의 정점에 와 있다고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품격있는 건조물, 명화, 예술과 문화의 향기 등으로 세계인의 많은 사람들을 경험하게 한 장소가 세계적인 관광지가 되듯이 문화예술의 중심이었던곳은 곧 브랜드가 된다. 21세기에 세계적으로 한국문화 및 K-콘텐츠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으로써 한국은 세계문화의 중심지로 새로운 브랜드와 이미지로 이끌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국가이미지 현황 및 통합관리 체계를 통하여 K-컬처 콘텐츠 전략을 제안 하는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국가 브랜드의 다양한 해외 사례들을 분석하고, 한국의 새로운 국가 브랜드를 형성시켜 세계적으로 자산화 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에 맞게해외 국가 브랜드 성공사례 분석 및 한국의 K-컬처 콘텐츠의 시장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K-컬처 콘텐츠를 배경으로 한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의 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는 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브랜딩화제시 등 국가 브랜드 차원에서 국가 이미지 위원회 구성 및 새 정부 공약의 실천에 따른 민간 협업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로 인하여 한국의 신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표본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국가 브랜드로의이미지 제고에 전세계적으로 발전적인 기대효과를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영상·커뮤니케이션대학원 > 뉴미디어콘텐츠전공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Do Hoon photo

Lee, Do Hoon
영상·커뮤니케이션대학원 (Major in New Media Content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