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세대화합을 위한 초세대놀이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유영-
dc.contributor.author장영호-
dc.contributor.author이현성-
dc.date.accessioned2023-12-11T07:07:06Z-
dc.date.available2023-12-11T07:07:06Z-
dc.date.issued2023-06-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2039-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에 생기를 불어넣고 지역활성화를 가능하도록 이어주는 것은 도시공간의 요소이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도시공간 요소 중 하나인 놀이터는 지역사회의 중심이자 건강한 사회의 지표가 될 수 있는 공공공간이다. 전국 79 만개의 어린이놀이터가 획일화된 놀이터로 양산 또는 유지되고 있으나, 그 대상이 어린이에게만 국한되어 있어 빠른 고령화와 핵가족화로 세대 간 갈등의 해결 과정은 점차 소멸되고 있다. 이는 커뮤니티 안에서 다른 세대들과의 소통과 배움과 관련된 기회의 단절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도시공간 요소의 하나인 놀이터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접근하여 어린이들만의 놀이가 아닌 소규모 공동주택을 포함한 마을 커뮤니티 공간에서 세대공감 및 세대화합 지향의 세대놀이터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모델 기반 방향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초세대놀이터의 정의를 확립하고 공공공간에 대입할 수 있도록 초세대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그다음 놀이터의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외 사례를 대상으로 소규모 공동주택을 포함한 근린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UN의 지속 가능발전 목표 중 11번째인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회복력 있고 지속 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조성’에 포커스를 맞춰 초세대놀이터의 필요성을 구성요소 키워드로 나타낸다. 디자인모델 기반 방향 도출은 부가적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핵심가치와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과) 첫째, 접근이 편리한 초세대놀이터는 노인과 아동을 자연스럽게 교류시켜 상호 정서적, 사회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둘째, 초세대놀이터의 개념을 적용하여 향후 새로운 놀이터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초세대놀이터와 관련된 스토리텔링을 통해 프로그램을 도출한 공공공간은 쇠퇴한 지역을 활성화하는 기본요소로써 경제적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결론) 노인과 아동은 교류를 통해 상호 긍정적 영향을 주고받으며 이해와 존경이 동반될 수 있어야 한다. 즉 소규모 공동주택을 포함한 마을 커뮤니티 안에서 초세대놀이터를 활성화한다는 것은 놀이공간을 통해 자주적이고 간접적인 상호 교류를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세대를 넘나드는 공감과 화합의 초세대놀이터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모델 기반이라 할 수 있으며, 추후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론을 통해 모든 세대들이 자유롭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신개념의 놀이터가 마련되어 생동감 넘치고 사람들이 유연하게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dc.format.extent16-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세대화합을 위한 초세대놀이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esign of the Cross-Generation Playground for the Harmony of Generation-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doi10.35216/kisd.2023.18.4.57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8, no.4, pp 573 - 588-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8-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573-
dc.citation.endPage588-
dc.identifier.kciidART002974077-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초세대-
dc.subject.keywordAuthor놀이터디자인-
dc.subject.keywordAuthor지역활성화-
dc.subject.keywordAuthor공공공간-
dc.subject.keywordAuthor커뮤니티-
dc.subject.keywordAuthorCross-generation-
dc.subject.keywordAuthorPlayground design-
dc.subject.keywordAuthorLocal revitalization-
dc.subject.keywordAuthorPublic space-
dc.subject.keywordAuthorCommunity-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 공공디자인전공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ang, Youngho photo

Jang, Youngho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s (Major in Public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