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LED 버추얼 프로덕션의 가상 공간 배경 방식과 스튜디오 유형에 의한 콘텐츠 제작 특성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진서-
dc.contributor.author한정엽-
dc.date.accessioned2024-07-15T02:00:35Z-
dc.date.available2024-07-15T02:00:35Z-
dc.date.issued2024-06-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33326-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2020년대에 들어오면서 국내외 LED를 기반으로 하는 버추얼 프로덕션이 확산되고 VFX 기업을 중심으로 LED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의 구축과 특히 우리나라 정부 주도의 정책사업을 통해 버추얼 프로덕션 산업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전문인력의 부족과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제작 시설의 확산에 비해 버추얼 프로덕션의 활용이 아직 제한적인 상황으로 이에 본 논고에서는 버추얼 프로덕션 제작의 중요 요소 중의 하나인 가상 배경 공간의 제작 방식에 따른 버추얼 프로덕션의 활용 유형을 분석하여 가상 배경 공간의 활용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LED 기반 버추얼 프로덕션에서 활용되는 가상 공간 배경의 제작 방식 유형을 분류하고 이와 연계한 버추얼 프로덕션 주요 요소들을 정의하고 각각 제작 방식의 활용 사례를 통해 LED 버추얼 프로덕션에서 활용되는 가상 공간 배경이 콘텐츠 촬영 방식의 특성과 장면에 따른 제작 기법의 특징 및 실제 공간인 LED 버추얼 스튜디오 유형과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결과) LED 버추얼 프로덕션에서 가상 공간의 제작 방식으로 활용되는 대표 사례를 2D, 2.5D, 3D, 360도 HDRI 방식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가상 공간 배경이 콘텐츠 제작의 특성과 장면 요소를 고려하여 구현해야 한다는 활용적인 측면에서의 특징을 알 수 있었다. 2D 유형의 경우 단순 가상 배경에는 적합하나 촬영 현장에서의 유연한 활용이 어렵고, 2.5D 유형은 여러 개의 2D 배경을 시차 스크롤 기법을 활용하여 입체효과를 낼 수 있으나 3D 유형보다는 카메라의 이동에 제한이 있다. 3D 유형은 촬영 현장에서 다양한 활용과 필요시 즉각적인 수정 등 유연한 활용이 가능하나 제작 시간과 비용의 투자 및 고사양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2D와 3D 방식을 확장시킨 360도 HDRI 방식은 현실감 있는 조명 효과와 촬영 현장에서의 카메라의 이동이 자유롭지만 이를 위해서는 볼륨형 LED 버추얼 스튜디오가 반드시 필요하다. 가상 공간 배경은 활용 방식과 콘텐츠의 촬영 여건 및 장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제작 방식이 혼용되어 필요하며 배경의 활용과 더불어 LED 버추얼 스튜디오의 실물 공간 활용 방식도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LED 버추얼 프로덕션의 가상 공간 활용 방법에 대한 유형 및 특성을 연구하고 가상 공간 활용의 발전 방향에 대해 모색하였다. LED 버추얼 프로덕션에서의 가상 배경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사전 기획과 사전 시각화 과정을 통해 콘텐츠의 특성과 유형에 맞는 방식으로 LED 버추얼 스튜디오 유형을 검토해야 한다. 향후 물리적인 LED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와 가상 공간 활용의 연관 관계의 분석을 통해 지속적인 연구가 본 연구의 가치를 배가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dc.format.extent8-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R-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LED 버추얼 프로덕션의 가상 공간 배경 방식과 스튜디오 유형에 의한 콘텐츠 제작 특성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production based on virtual space background methods of LED Virtual Production and studio types-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대한민국-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9, no.4, pp 519 - 526-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9-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519-
dc.citation.endPage526-
dc.identifier.kciidART003094412-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Virtual space-
dc.subject.keywordAuthorVirtual background-
dc.subject.keywordAuthorVirtual Production-
dc.subject.keywordAuthorLED Wall-
dc.subject.keywordAuthorVirtual Studio.-
dc.subject.keywordAuthor가상 공간-
dc.subject.keywordAuthor가상 배경-
dc.subject.keywordAuthorVirtual Production-
dc.subject.keywordAuthorLED Wall-
dc.subject.keywordAuthorVirtual Studio.-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영상·커뮤니케이션대학원 > Film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an, Jung Yeob photo

Han, Jung Yeob
영상·커뮤니케이션대학원 (Film Desig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