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식음공간에서 나타나는 바이오모픽 표현 특성 및 요소분석에 관한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은경-
dc.contributor.author이주영-
dc.contributor.author이승용-
dc.date.available2020-07-10T05:28:50Z-
dc.date.created2020-07-06-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issn1976-4405-
dc.identifier.urihttps://scholarworks.bwise.kr/hongik/handle/2020.sw.hongik/6371-
dc.description.abstract(연구배경 및 목적)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삶은 기계적이며 생명이 무시된 상태로 계속 변화해갔으며, 과거의 서구는 과학적, 수학적인 사고방식은 인간이 자연의 위에 존재한다고 생각했었다. 또한 인간은 자연을 지배하고 소유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이러한 사고방식으로 인해 자연은 파괴되어 급속도로 불균형을 이뤘으며 인간을 물질 만능주의 삶으로 비인간화의 모습으로 변해갔다. 이러한 생각의 반기를 들고 다시 돌아가자는 각성의 목소리가 생기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인간 정신 본질을 추구하고자 노력하는 과정 이었다. 바이오모픽은 데카르트의 기계론적 사고론을 거부하고 자연과 정신 등의 형이상학적인 기반을 지지하는 생물형태주의, 생물학적을 토대로 하는 예술가들이 출현하면서 구체화 되었다. 이들은 전형적이고 과학적인 문명화되고 획일화된 형태로부터 벗어나 유기적인 생명감을 작품에 도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회 변화는 현재 다양한 공간에서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인간은 평생 자연과 환경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관계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자연 모티브적 공간에서 안정감을 느끼며 자연으로부터 치유를 원하고 힐링을 하는 곳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음식 또한 자연주의 식단과 같이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앞으로의 주요 외식소비 트랜드 또한 식사 및 휴식을 할 수 있는 공간과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공간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식음공간의 차별화를 위한 접근 방안으로 바이오모픽 요소가 반영된 공간은 인간과 공간간의 소통의 매개체가 되어 상호작용적 공간으로 발전될 수 있음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소비문화와 트랜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변화함에 따라 바이오모픽의 요소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공간창출을 바이오모픽 표현특성을 통해 효과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또한 바이오모픽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의미와 분석을 이해하고 2010년~2015년 내 완공된 실내 식음공간을 대상으로 작품을 선정하여 바이오모픽 표현특성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에 대한 사례를 통하여 바이오모픽을 적용한 공간과 인간의 상호작용적 효과를 분석해 내어 바이오모픽 표현특성의 따른 종합결과 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사례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바이오모픽 표현특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출되고 있으며 이의 강도를 분석하여 살펴보면 역동적 조형성과 지속적 연속성의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역동적 조형성`은 바이오모픽 표현특성이 식음공간에서 천정, 벽, 바닥, 가구, 조명등에서 강도가 가장 높게 나났고, `색채의 상징성`의 표현요소는 천정과 벽에서 강도가 중간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적 연속성`의 표현요소는 천정과 벽에서 강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생명체 추상성`의 표현요소는 벽을 제외한 부분에서 동일하게 강도가 약하게 나타나며 `초현실성`의 표현요소는 다른 표현요소에 비해 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색채의 상징성은 다소 비중이 작았으나 최근 다양한 색채와 재료를 사용함에 있어 언어적 표현의 색채의 상징성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바이오모픽이 생명체라는 모티브를 통해서 다양한 예술적 분야에서 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사례를 통해 분석해 내고, 그에 따른 사회적, 문화적 흐름에 맞는 소비자와 공간간의 상호 작용적 교감의 요소를 바탕으로 바이오모픽의 표현특성을 적용하여 공간의 효과를 극대화 하여 소통의 매개체적 공간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해 내었고, 그 결과로 학술적인 도움이 되고자 한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공간디자인학회-
dc.title식음공간에서 나타나는 바이오모픽 표현 특성 및 요소분석에 관한연구-
dc.title.alternativeA Research Study on the Analysis of Biomorphic Characteristics Manifested in Dining Spaces-
dc.typeArticl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윤은경-
dc.identifier.doi10.35216/kisd.2017.12.5.31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12, no.5, pp.317 - 326-
dc.relation.isPartOf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title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dc.citation.volume12-
dc.citation.number5-
dc.citation.startPage317-
dc.citation.endPage326-
dc.type.rimsART-
dc.identifier.kciidART002278574-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dc.subject.keywordAuthorBiomorphic-
dc.subject.keywordAuthorMetamorphosis-
dc.subject.keywordAuthorDining space-
dc.subject.keywordAuthorRestrant-
dc.subject.keywordAuthorInteraction-
dc.subject.keywordAuthor바이오모픽-
dc.subject.keywordAuthor메타모포시스-
dc.subject.keywordAuthor식음공간-
dc.subject.keywordAuthor레스토랑-
dc.subject.keywordAuthor상호작용-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Design /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 Urban Design > Interior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